현장 목소리 바탕으로 제도 개선
|
28일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주재로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보이스피싱 AI 플랫폼 구축방안이 공개됐다.
현재 보이스피싱은 개별 금융회사의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로 보이스피싱 범죄 의심계좌를 탐지해 지급정지 등 조치를 하고 있다. 하지만 개별 금융사에 제한된 보이스피싱 사례를 바탕으로 자체 패턴분석 기술 등에 의존해 탐지를 하고 있고, 보이스피싱 범죄자 계좌 등이 탐지돼도 금융회사간 즉시 정보교류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범죄계좌 차단 등의 효과가 제한적이나는 지적이 존재했다.
보이스피싱 AI 플랫폼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 금융권·통신사·수사기관의 보이스피싱 의심계좌와 관련된 정보를 긴급공유 필요정보와 AI 분석정보로 나눠 처리한다.
긴급공유 필요정보는 긴급 보이스피싱 상황에 즉시 대응하기 위해 기관간 즉각적인 공유가 필요한 정보다. 가공작업 없이 즉시 필요한 기관 등에 전달·공유돼 이를 받은 금융회사는 보이스피싱 피해자 예방·보호 등을 위해 범죄자 계좌 지급 정지 등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잠재적인 피해자 양산을 막고, 자금 도피처를 신속히 차단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AI 분석정보는 보이스피싱 의심계좌의 특징을 분석·파악해 사전에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한다. 최신 보이스피싱 수법 등을 포함한 패턴 분석을 거쳐 전 금융권 등의 범죄계좌 사전 차단 등에 활용된다.
보이스피싱 범죄 의심계좌 사전 지급정비 뿐만 아니라 피해가 의심되는 고객·통신회선에 대한 사전 경고·안내, 범죄에 취약한 계층 등에 예방정책 수립·경고·안내 등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
특히 사전탐지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2금융권도 다양한 신종 범죄 수법 데이터와 금융보안원의 AI기술을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범죄계좌 지급정지를 조치할 수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현장 전문가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시간도 가졌다. 현장 고수의 목소를 경청해 과감하고 근본적인 조치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오늘 발표한 보이스피싱 AI 플랫폼 구축은 금융위가 구상 중인 여러 방안 중 첫 사례일 뿐이다"며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예방-차단-구제-홍보' 각 단계별로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낼 정책과제를 끈질기게 고민해 순차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