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UN 국가에 팔레스타인 국가로 인정 촉구
|
바로 외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프랑스 주간지 라 트리뷴 디망쉬와의 독점 인터뷰에서 "처음으로 아랍 국가들은 하마스를 비난하고 무장 해제를 촉구할 것이며 이로 인해 하마스는 확실하게 고립될 것이다"라며 "유럽 국가들은 차례로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하겠다는 의사를 밝힐 것이다. 유럽 국가의 절반이 그렇게 했고 다른 모든 국가들도 이를 고려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또 "영국 총리는 그렇게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라고 덧붙였다.
유엔은 오는 28~29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두 국가 해법'을 논의하는 장관급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 6월 회의를 열려고 했으나 미국의 압력과 이스라엘과 이란의 '12일 전쟁'으로 연기됐다.
이틀 동안 열리는 회의에서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전쟁 이후의 로드맵을 제시할 계획인데, 여기에는 안보, 재건, 통치 방식 등을 포함한 두 국가 해법이 포함될 것이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재한 아브라함 협정과 호환될 것이라고 바로 장관은 밝혔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9월 21일 열리는 UN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조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팔레스타인 국가가 설립되기도 전에 이를 인정하는 것은 비생산적이라 지적했으며, 독일 정부 대변인은 단기적으로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다.
바로 장관은 수주 내에 UN 집행위원회가 이스라엘에 대해 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이스라엘에 서안 지구에서 새 정착촌 건설을 중단하고 인도주의적 구호품 배급에 대한 군사적 치안 유지를 중단할 것을 요구할 것이라 덧붙였다.
또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빚진 20억 유로를 받을 수 있도록 재정 봉쇄를 해제할 것을 유럽 국가들에 촉구했다.
현재 193개 UN 회원국 중 147개국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받아들이고 있다. 지난해에는 스페인, 아일랜드,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등이 대열에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