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AI로 전쟁 패러다임 바뀐다…산업계 “데이터·법제화 시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8010016244

글자크기

닫기

김민환 기자

승인 : 2025. 07. 28. 16:29

“AI 드론이 전투 주도”…산업계, 해외 실전 사례 공유
“3D 시뮬·클라우드 전환 필요”…제도 정비 시급성 제기
clip20250728162528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연합
전쟁 양상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머신러닝 기반의 네트워크 중심 전투로 급속히 전환되는 가운데, 국방 AI 기술의 제도 기반과 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국회에서 열린 'AI가 바꾸는 대한민국 안보' 세미나에서는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정부,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국방 AI 기술의 적용 방향과 제도 개선 과제를 논의했다.

유 의원은 개회사에서 "드론과 위성 감시, 정밀 타격 등 현대전은 이미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AI 중심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북한도 우크라이나전을 계기로 AI 드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우리도 국방 전반에 AI를 본격 도입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전유광 팔란티어코리아 부사장은 발표에서 "미군 등은 팔란티어 같은 민간 플랫폼을 활용해 방대한 전투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고 있다"며 "AI는 지휘 효율화, 병력 피해 최소화 등 실전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기반 전투는 더 이상 가상의 이야기가 아니며, 민·군 협력 아래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현수 다쏘시스템코리아 본부장은 "AI 기반 버추얼트윈 기술은 무기체계의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주기를 혁신할 수 있다"며 "3D 시뮬레이션과 AI 조립 설계를 통해 부품 경량화와 설계 자동화가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그는 "프랑스 라팔 전투기, 에어버스 헬기 등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결함 예측과 사전 정비까지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조 본부장은 또 "국내에서도 3D 설계 전환, 클라우드 도입, 보안 인증 체계 구축 등 법·제도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국방 AI 확산을 위한 우선 과제로 △신뢰도 높은 설계·운용 데이터 확보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전환 △AI 관련 법제 정비 등을 제시했다. 국내에서도 방위사업청이 지난해부터 관련 데이터 확보 사업에 나섰지만, 체계적인 데이터 공유와 인증 체계는 향후 보완이 필요한 과제로 꼽힌다.
김민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