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취재후일담] 미국산 LNG 수입, 외교는 성공…비용은 과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31010018560

글자크기

닫기

김민환 기자

승인 : 2025. 07. 31. 18:00

p15
김민환 기획취재부 기자
"한국이 1000억 달러 규모의 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상당한 금액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밝힌 이 발언은 단순한 숫자를 넘어섭니다. 미·중 사이에서 공급망 균형을 고민해온 한국으로서는, '수출'이 아닌 '수입'을 전면에 내건 이 약속이 가볍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서는 실무협상 없이 정무적 타결이 먼저 이뤄진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습니다.

또 알래스카산 LNG가 주요 대상이라는 분석도 제기됐지만, 정부는 확대 해석을 경계하며 사실관계 정리에 나섰습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번 합의에는 알래스카 관련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알래스카산 LNG는 트럼프 1기 시절부터 상징처럼 언급돼 왔지만, 사업성과 인프라 미비 등으로 실제 수출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이번 수입 약속이 특정 지역이나 사업이 아닌, 향후 4~5년간 미국산 에너지 제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협의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전략'의 실질입니다. 우선 미국산 LNG 물량 구매를 확대할 경우 전체적인 수급현황과 재고저장 및 처리 능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여기에 가격경쟁력과 상대적으로 높은 수송비 부담을 완화할 방안 등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실정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사안을 감안하더라도 미국과의 에너지 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정세 불안 등 지정학적 변수 속에서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려는 전략적 고려가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에너지 수입을 경제적 판단이자 외교적 협력의 연장선으로 보는 정부의 시각이 이번 합의에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그 지점에서 질문이 남습니다. 외교가 방향을 정하는 일이라면, 그 방향으로 나아가는 무게는 누가 감당할 것인가. 과거 미국산 LNG 계약에서도 조달 비용과 계약 조건의 불리함은 반복적으로 지적돼 왔습니다. 정무적 선택일수록 실무적 검토는 더 치밀해야 합니다.

외교가 방향을 제시한다면, 그 방향으로 나아가는 과정의 무게는 결국 산업계와 경제가 함께 감당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과거 도입 경험을 교훈 삼아, 이번 수입 약속이 단순한 신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교한 후속 조율이 뒷받침돼야 할 것입니다.
김민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