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위조상품 검열 95.6%…네이버, 더 안전하게 사용한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5010001771

글자크기

닫기

김영진 기자

승인 : 2025. 08. 05. 08:47

'안심보장' 프로그램 효과 톡톡
카페·밴드·블로그 등 UGC 영역으로 확대 적용
s
네이버가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카페, 밴드 등으로 확대 적용한다./네이버
네이버가 커머스 서비스에 적용해온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카페·밴드·블로그 등 커뮤니티 기반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영역으로 확대한다.

5일 네이버는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통해 쇼핑뿐 아니라 네이버 전반에서 안전한 거래 생태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 이 프로그램을 도입해 위조상품 유통 방지, 비정상 거래 탐지, 위해상품 차단 등 기술·정책적 보호 조치를 운영해왔다. 네이버에 따르면 스마트스토어 입점 단계부터 위조 이력이 있는 판매자를 차단하고 도용 의심몰을 선제 탐지하는 등 '위조상품 클린프로그램'을 병행한 결과 쇼핑 부문 위조상품 사전 대응률은 올해 95.6%에 달했다. 위조상품 신고 건수도 감소세로 카페·밴드·블로그에서는 올해 상반기 신고가 전년 동기 대비 50% 줄었다.

UGC 영역에서는 위조상품 관련 키워드 검색 차단, 관련 커뮤니티 개설·게시물 등록 제한, 판매·홍모 게시글 차단 기능 고도화 등 사전 기술 대응을 강화했다. 네이버는 연내 밴드의 가품 신고 메뉴 접근성을 높이고 자동 탐지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오는 9월 1일부터는 '지식재산권 클린프로그램'도 시행한다. 상표권·저작권·특허권·실용신안·초상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상품 등록과 판매를 방지하기 위해, 동일 판매자가 한 주에 20건 이상 침해한 경우 단계별로 주의·경고·제재를 적용하고 반복 시 쇼핑 검색 노출을 제한한다.

피싱·위해상품 대응 체계도 고도화됐다. 피싱 패턴 탐지 툴 개선과 사전 차단 조치 강화로 올해 1~7월 피해 신고 건수는 전년 대비 80% 이상 감소했다. 또한 의약품·동물 의약품 등 위해상품 유통 차단을 위해 식약처와 핫라인을 구축하고 안전 상품 DB를 확대하고 있다.

유봉석 네이버 정책/RM 부문장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위조 및 위해상품으로부터 구매자를 보호하고 판매자 신뢰를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쇼핑과 UGC 등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확대해 건강한 플랫폼 환경과 서비스 신뢰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