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기업 발굴·리스크 관리 병행” 주문
|
금감원은 12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회의실에서 발행어음을 취급하는 4개 종투사(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KB증권) 자금운용 담당 임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모험자본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서재완 금감원 금융투자 부원장보는 "2013년 초대형 IB 제도 도입 취지에도 불구하고 종투사의 모험자본 공급 실적은 여전히 미흡하다"며 "성장 잠재력이 높은 유망기업을 발굴·집중 지원하는 것이 종투사의 본연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2024년 9월 말 기준 종투사의 모험자본은 12조8000억원으로, 전체 자산의 2.23%에 불과하다.
서 부원장보는 또 "모험자본 규모에 걸맞은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갖춰야 한다"며 "금감원도 업계의 공급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업계는 정부의 생산적 금융 확대 방향에 공감하며, 발행어음과 투자일임계좌(IMA)를 활용해 벤처·혁신기업 등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업계는 투자 역량 강화와 리스크 관리 고도화 등 실행 기반도 마련해, 기업신용공여·발행어음·IMA 등 초대형 IB에 허용된 다양한 업무를 통해 책임 있는 자금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업계와의 소통을 이어가며 금융투자업계 전반에 모험자본 활성화 문화를 확산하고, 종투사 지정·인가 심사 때 구체적인 모험자본 공급 계획을 반영해 체계적인 자금 공급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