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및 미국 시장 공략 본격화
아마존 소수 지분 투자도
|
19일 업스테이지에 따르면 이번 협약에 따라 업스테이지는 AWS를 '우선 클라우드 제공업체'로 지정하고 자사의 파운데이션 모델과 훈련, 배포 과정 전반에 AWS 인프라를 활용한다. AWS의 전용 AI 칩셋인 트레이니움(Trainium)과 인퍼런시아(Inferentia), 그리고 세이지메이커(SageMaker) 플랫폼을 기반으로 솔라(Solar) 언어모델을 고도화하고 문서 처리 솔루션 라인업을 확장하는 것이 핵심이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AWS와는 수년간의 협업을 통해 굳건한 기반을 다져왔으며, 이번 협약은 전 세계 AI 혁신을 가속화하려는 양사의 공동 비전을 실현하는 새로운 장을 의미한다"며 "AW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더 많은 공공기관에 안전하고 지능적이며 고성능의 AI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업스테이지의 대표 모델군인 솔라는 107억 매개변수의 솔라 미니, 220억 매개변수의 솔라 프로에 이어 최근 310억 매개변수 규모의 '솔라 프로 2'를 공개했다. 챗 모드와 추론 모드를 갖춘 하이브리드 구조로 코딩·수학·논리적 워크플로 등 고난도 작업에서 성능을 크게 끌어올렸으며, 한국어 이해력도 강화했다. 이들 모델은 AWS 마켓플레이스와 베드록(Bedrock), 세이지메이커 점프스타트 등을 통해 글로벌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다.
또한 업스테이지는 계약서, 재무제표, 인보이스 등 다양한 문서에서 핵심 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서 인텔리전스(Document Intelligence)' 솔루션을 AWS 마켓플레이스에 선보이며 엔터프라이즈 시장도 겨냥한다.
존 존스(Jon Jones) AWS 글로벌 스타트업 및 벤처캐피털 총괄 부사장은 "AWS는 업스테이지가 새로운 혁신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며 "완전관리형 AI 서비스부터 파운데이션 모델 훈련 및 추론을 위한 전용 칩까지, 업스테이지는 AWS를 활용해 공공 부문 이해관계자들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모든 사람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AI 활용 방식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아비짓 무줌다르(Abhijeet Muzumdar) 아마존 기업개발 부사장은 "스테이지는 아태 지역의 핵심 혁신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이번 투자를 통해 솔라 모델과 솔루션 확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양사는 지난 4월 교육기관과 비영리단체를 대상으로 생성형 AI 도입을 지원하는 'AI 이니셔티브'를 공동 추진했다. 이 프로그램에는 서울대, KAIST 등 200여 개 기관이 참여했으며, 업스테이지는 AI 모델 무료 API를, AWS는 인프라와 교육 툴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