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두로 대통령 신변 위협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
|
중남미 국방정보 전문매체 인포데펜사는 25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 정부가 전국에 드론 금지령을 발동했다고 보도했다.
베네수엘라 국방부와 재무부, 교통부 등 3개 부처는 합동으로 발동한 조치에서 30일간 드론 및 관련 부품의 판매와 구매, 제조, 수입, 유통, 교육, 훈련, 등록, 비행 운영을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조치는 지난 19일부터 발효됐으며 시행 기간은 필요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지난 18일 450만명 규모의 민병대를 전국에 배치한다고 밝혔다. 미국이 마약 밀수 원천 차단을 목적으로 베네수엘라 카리브에 이지스 구축함 3척과 4000명 규모의 병력을 배치하고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에 대한 현상금을 5000만 달러(약 691억원)로 높이자 황급하게 발표한 대응이다.
부정선거 의혹에서 자유롭지 않은 마두로 대통령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미국은 그를 세계 최대의 마약 밀매업자 중 1명으로 보고 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마두로 정부에 대해 "베네수엘라의 합법적인 정부가 아니라 마약 카르텔"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일각에선 미국이 베네수엘라의 레짐 체인지(정권 교체)를 궁극적 목표로 잡고 수순을 밟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스페인어권에서 가장 많은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온라인매체 인포바에 중남미판은 미국이 마두로 정권을 다국적 범죄조직으로 규정하고 마약카르텔이라고 지목한 데 이어 당국의 하이브리드 전쟁 상대인 테러단체로 지정한 것, 민주적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은 것 등이 레짐 체인지를 위한 절차적 수순으로 볼 수 있다고 보도했다.
베네수엘라 정부가 드론 금지령을 내린 것은 마두로 대통령이 미국으로부터의 신변 위협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익명의 베네수엘라 야권 관계자는 "미국의 압력이 커지자 마두로 대통령이 드론을 이용한 암살시도를 걱정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