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500억弗 대미 투자 방안 발표…“조선·원전·방산 등 협력 기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7010013462

글자크기

닫기

김동민 기자

승인 : 2025. 08. 27. 13:43

삼정KPMG, ‘한미정상회담’ 산업별 영향 분석 보고서 발표
불안 요인 완화 및 대미 협력 가능성 통한 기업 성장 동력 모색 필요
[이미지1] 한미정상회담 주요 의제 (제공 삼정KPMG)
삼정KPMG
한미정상회담에서 국내 기업들이 1500억 달러(208조원)의 대미 투자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조선업을 비롯해 원전·방산·핵심광물 공급망 등 주요 분야를 중심으로 양국 간 기업들의 투자 및 수출 전략이 새롭게 재편될 전망이다.

27일 삼정KPMG는 '한미정상회담에 따른 국내 산업별 영향: 대미 투자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번 회담의 핵심 키워드로 △안보·방위 협력 △경제·산업 협력 △한미 관세협상 원안 유지를 꼽았다.

한미정상회담에서는 7월 30일 합의된 한미 무역협상안이 그대로 유지됐다. 양국 정상은 미래지향적 한미 동맹 현대화에 합의했으며, 조선·항공·원자력·LNG(액화천연가스)·핵심광물 등 주요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1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공식화했다.

보고서는 이번 한미정상회담 결과가 산업별로 미칠 영향과 기업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조선업은 트럼프 대통령의 MASGA(미국 조선업 재건 전략)와 이재명 대통령의 '조선·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이 맞물리며, 공동 건조·해군 MRO(유지·보수·운영)·조선소 현대화 등 다방면의 협력 확대가 예상된다.

에너지 산업은 2028년까지 LNG 등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 확대와 함께 SMR(소형모듈원자로) 등 원자력 분야의 협력이 본격화된다. 한국 기업은 에너지 도입선 다변화와 차세대 원전 기술 협력 기회를 적극 모색해야 한다.

방산 분야에서는 양국이 '동맹 현대화'라는 틀에서 실질적 협력 강화에 뜻을 모았다. 단기적으로는 방위산업 전략광물 공급, 미국의 첨단 무기 도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미 간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K-방산 경쟁력 제고가 핵심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의약품 관세 부과에 대한 긴장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내 바이오 클러스터 확보를 위한 생산시설 인수 등 대미 투자 검토가 요구된다.

이차전지는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공급망 분야의 하위 의제로 논의됐으며, 양국은 미국 내 생산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협력 의지를 확인했다. 이에 따라 K-배터리는 미국 시장 내 입지를 넓히고, 미국을 거점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산업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으로 15% 관세 부과가 확인된 만큼, 국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을 겨냥한 현지 투자 확대와 정부와의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

농식품 산업은 전반적으로 한미 관세협상 합의가 유지되면서 향후 대미 수출품에는 15% 추가 관세가 적용될 전망이다.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활용과 현지 공장 설립 등의 대응 전략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해야 한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으로 불안 요인들이 완화되고, 조선·에너지·방산 등 전략 산업의 협력 기회 마련 등 긍정적 영향이 확대된 만큼, 한국 기업은 첨단 기술 협력과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 논의 속에서 성장 동력을 모색해야 한다"며 "특히 1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실행 과정에 대한 후속 모니터링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