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비싼 신재생 전기, 발전단가 낮추는 게 관건… 기술력·인프라 키워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8010013829

글자크기

닫기

안소연 기자

승인 : 2025. 08. 27. 18:02

[에너지혁신포럼]
요금 인상, 산업 경쟁력 약화 우려
"기술개발 통한 가격 안정화 필요"
27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제10회 아시아투데이 에너지혁신포럼 2025에서 패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왼쪽부터 김강원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정책실장,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 박양수 대한상공회의소 SGI 원장, 이슬기 산업연구원 신성장동력연구실 연구위원, 강영택 한국수소연합 산업지원실장, 오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재생에너지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송의주 기자 songuijoo@
값비싼 전기는 결국 산업경쟁력을 약화 시키기 때문에, 에너지전환 대전환을 이루려면 반드시 더 효율화 된 기술과 최적화 된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10회 아시아투데이 에너지혁신포럼에서 주제발표 후 이어진 토론에서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의 핵심은 전기요금"이라고 지적했다.

비싸게 만든 전기는 결국 요금 인상으로 이어져 산업경쟁력을 약화 시키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유승훈 교수는 "전기요금 인상에 대해 어떤 국민적 공감 형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재생에너지 전환의 핵심인 RE100 산업단지 안착에도 해결이 시급한 과제는 전기요금, 인프라 등이다. 이슬기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들이 (RE100 산단에) 입주하려면 전력 공급 뿐 아니라 요금, 인프라 확보 등이 고민돼야 한다"면서 "정책 논의 과정에서 이런 부분을 이야기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안에너지로 꼽히는 수소에 대해서도 가격 이야기가 오갔다. 이 연구위원은 "세계적 성과는 사실이지만 본격적인 수소산업 육성이나 제조업에서의 활용을 위해서는 가격이 문제"라며 "우리나라는 부생수소가 있어서 그나마 가격이 저렴한 편이지만, 타국가보다 아직 비싼 수준으로, 산업계에서 활용하기에도 부담이 될 것으로 보여 기술개발을 통한 가격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수소에 대한 투자가 전혀 없고 전액 한전에 부담을 시키고 있다"면서 "현행 전기요금과 수소 발전 원가의 차액을 한전이 다 부담한다면 현장의 재무구조는 악화될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결국 정부의 재정 보조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자들은 재생에너지가 이제는 국가 안보의 핵심 요소임을 언급했다. 올해 시행된 '자원안보특별법'으로 안보 품목에 포함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주요 경쟁국, 특히 중국에서는 자국 산업에 막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는 점은 가장 큰 위협이다. 가격 경쟁력에만 기대 주요 부품을 중국에서 조달하면 산업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오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재생에너지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은 "한국은 정책적 지원이 보급 중심에 치우쳐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안소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