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시코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 발표를 앞두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7일(현지시간) 전했다.
익명의 관계자 3명을 인용해 보도한 블룸버그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정부가 다음 달 8일까지 의회에 제출할 예정인 2026년도 예산안 논의 과정에서 중국에서 제조된 자동차·섬유·플라스틱 등 일부 수입 품목에 관세를 추가 부과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아직까지 구체적인 추가 관세율은 전해진 바 없고, 계획도 바뀔 수 있다. 멕시코는 중국산 자동차에 대해 현재 최대 20%의 관세율을 매겼다. 이는 미국의 대중 관세에 비하면 낮은 수치다.
경우에 따라 다른 아시아 국가도 멕시코에서 더 높은 관세를 부과 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멕시코는 전 정부에서 1980년대 이후 최대의 적자 예산을 기록해 재정 부담이 상당한 지경이다. 이에 셰인바움 정부가 세수 확충 차원에서 이 같은 정책을 펼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다만 멕시코의 관세 정책이 미국 압박에 따라 본격 조치되고 있다는 해석에도 힘이 실린다.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초부터 멕시코에 미국과 같은 수준으로 대중국 관세를 매기라고 압박한 바 있다.
지난 2월 스콧 베선트 미 재무 장관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강조하며 3국 무역·제조업 유대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이 같은 압박은 중국 제품의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우회 반입되는 것을 경계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반영된 맥락으로도 봐야 한다고 블룸버그는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