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둥-베이징 열차 운행 제한
숙소는 댜오위타이 국빈관
|
김 위원장은 이보다 앞서 중국을 4회 방문한 바 있다. 2018년 3월 첫 방중 때와 2019년 1월 네 번째 방문길에는 열차로 이동했다. 또 2018년 5월과 6월 방문 때는 전용기 '참매 1호'를 탔다.
이번에도 전용기를 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참매 1호'를 사용한 동향이 포착되지 않아 열차 이용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참매 1호'가 노후된 탓에 김 위원장이 이용을 꺼린다는 분석이 나온다면 분명 그렇다고 해야 한다.
철도 동선 인근에 있는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의 호텔이 외국인 예약을 제한하고 있다는 사실도 김 위원장이 열차를 이용하리라는 관측을 뒷받침한다. 이 호텔은 과거 김 위원장의 방중 때도 외국인 예약을 받지 않았다. 이외에 단둥에서 오후에 출발해 이튿날 오전 베이징에 도착하는 열차 운행이 내달 1일과 2일 중단된 사실 역시 김 위원장의 방중과 관련됐을 수 있다.
김 위원장은 베이징에서 중국 정부의 공식 영빈관인 시내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묵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앞서 3차례의 베이징 방문 당시 모두 댜오위타이에서 숙박했다.
김 위원장은 3일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서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겸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톈안먼(天安門) 광장에 소재한 망루에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