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박정희 겨냥한 막말·천안함 음모론 공유로 편향성 논란
|
최 후보자는 1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출처 표기가 소홀했던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논문은 연구 윤리 기준이 마련되기 이전인 2006년에 작성된 만큼 이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목원대 행정학 석사 논문을 쓰면서 언론 기사와 블로그 글을 인용 표시 없이 사용해 표절 의혹이 제기됐다.
세종시교육감 재직 시절에는 성추행 의혹으로 한국만화가협회에서 제명된 박재동씨를 교육청 강연자로 초청해 논란을 샀다. 당시 박씨는 285만원의 강연료를 받아 최근 3년간 교육청이 지급한 사례 가운데 최고액을 기록했다. 최 후보자는 강연 후 SNS에 "재미있고 의미 있는 강의였다"며 박 씨를 "존경하는 벗"이라 표현해 성인지 감수성 부족 비판을 자초했다.
음주운전 전력도 도마에 올랐다.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실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 후보자는 2003년 대전에서 혈중알코올농도 0.187% 상태로 운전하다 적발돼 면허가 취소됐다. 이는 현행 면허 취소 기준인 0.08%를 두 배 이상 웃도는 만취 수준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SNS 활동 역시 구설을 낳았다. 그는 박근혜 전 대통령을 겨냥해 "잘 가라 XX년"이라고 썼고,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일을 '탕탕절'로 표현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옹호하는 글을 공유하고, 천안함 폭침과 관련한 음모론 영상을 게시해 정치적 편향성 논란도 이어졌다.
정치권에서는 최 후보자가 민주당과 오랜 인연을 맺어온 만큼 이번에도 자리를 지킬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는 능력이나 도덕성 논란과는 별개로 '자기편은 끝까지 감싼다'는 전형적인 패거리 문화가 작동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과 맞닿아 있다. 다시 말해 결함이나 하자가 드러나도 정치권은 "우리편은 옳다"는 식으로 끌고 간다는 지적이다.
또한 앞서 이진숙 전 후보자가 자녀 조기 유학,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등으로 지명이 철회된 상황에서 여권으로서는 연이은 낙마가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현실적 계산도 작동하고 있다. 한 여권 관계자는 "또다시 후보자가 낙마하면 정치적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어 끝까지 지켜낼 것"이라고 말했다.
최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직접 해명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오해에서 비롯된 부분도 있고 사과해야 할 부분도 있다"며 "소상히 설명하고 양해를 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논문 표절, 음주운전, 성인지 감수성 논란이 잇따라 불거진 만큼 청문회 통과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