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는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3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이번 부산 아파트 화재는 우리 사회가 외면해온 안전 사각지대가 얼마나 깊은지 보여준 비극"이라며 "정부는 부산 아파트 화재와 같은 사고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소방시설 보강 이외에도 안전교육 강화와 돌봄 체계 개선까지 '국민 생활 속 안전망'을 전면 재정비 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6월 부산 부산진구의 한 아파트에서 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불이 나 10·7세 자매가 사망했고, 7월 부산 기장군의 한 아파트에서는 심야 화재로 부모 없이 집에 있던 8·6세 자매가 숨졌다. 해당 세대에 경보기 및 스프링클러 미설치 등 안전장치의 부재로 초기 대피·진압에 실패하면서 인명피해로 이어졌다.
이에 정부는 △노후 공동주택 화재 안전 개선 △화재 안전교육 강화 △야간돌봄 공복 해소 등 3대 분야 중심의 대책을 추진한다.
먼저 정부는 스프링클러 설치되지 않은 전국 2만 5212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긴급 화재 안전점검을 진행 중이며 9월 안에 모든 단지에 대한 점검을 마무리한다. 취약세대에는 신속한 감지와 경보 기능이 결합된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보급(3년간 약 150만 세대)하고, '화재대피 안심콜'을 도입하여 재난 시 신속한 구조와 대피를 뒷받침한다.
화재 안전교육 강화를 위해선 노후 공동주택 밀집 지역 인근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화재 안전교육을 여름방학 전 실시했다. 2학기에는 미실시 및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확대하고, '우리집 대피계획 세우기' 학교-가정 연계 교육을 통해 가정 내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을 익히도록 할 예정이다.
정부는 야간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방과후 마을돌봄시설 총 350개소를 연장 운영한다. 야간시간(22시~익일 6시)대 긴급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저소득 가구(중위소득 75% 이하)에 대해서는 이용자 본인부담금 중 야간 할증(50%)요금을 지원하고, 아이돌보미에게는 '야간특화 긴급돌봄수당'을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