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도, 생활필수품 등 소비세 대폭 인하…美 관세 압박 속 내수 진작 나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4010002838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9. 04. 17:05

모디 총리, 미 관세 대응 위해 소비세 인하 지시
INDIA-SEMICONDUCTORS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 2일(현지시간) 뉴델리에서 열린 연례 '세미콘 인디아' 회의 개막식에서 연설하고 있다./AFP 연합뉴스
인도 정부가 비누와 샴푸, 소형차 등 수백여 품목의 소비세를 크게 낮추기로 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 압박 속에서 가계 부담을 줄이고 내수 소비를 촉진해 경기 활력을 높이려는 조치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은 3일 연방과 주 정부 장관들이 참여하는 '상품서비스세(GST) 위원회'가 세율 인하와 세제 단순화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복잡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기존 네 단계 세율을 5%와 18% 두 단계로 줄이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치약과 샴푸 같은 생활필수품은 세율이 18%에서 5%로, 소형차·텔레비전·에어컨 등은 28%에서 18%로 낮아진다. 개인 생명보험과 건강보험 상품은 세금이 완전히 면제된다.

이번 조치로 세수는 약 4800억 루피(약 7조 5840억 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인도 정부는 소비 확대 효과가 세수 손실을 만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인하는 힌두교 최대 축제 가운데 하나인 나브라트리 시작일인 오는 22일부터 적용된다.

시장 전망도 긍정적이다. 인도국가은행(SBI) 수미아 칸티 고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소비세 조정이 내수 소비를 자극해 재정적자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거나 오히려 개선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담배, 배기량 1500cc 이상 차량, 탄산음료 등 '사치·유해 소비재'에는 40%의 세율이 적용된다.

세금 인하는 생활소비재 기업 힌두스탄유니레버와 고드레지, 전자업체 삼성·LG·소니, 자동차 업체 마루티·도요타·스즈키 등 기업들의 매출 확대에도 힘을 실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결정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강력한 요구에 따른 것이다. 모디 총리는 지난달 "10월까지 GST를 낮춰 미국의 최대 50%에 이르는 관세에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이번 개혁이 국민의 삶을 개선하고, 특히 영세 상인과 소규모 기업의 경영 환경을 크게 나아지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