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정보좌관 “40년뒤 국가채무비율 달라질 수 있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5010002888

글자크기

닫기

홍선미 기자

승인 : 2025. 09. 04. 17:56

2065년 156.3% 우려에 정책대응 강조
대통령실은 4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40년 뒤인 2065년 156.3%(올해 말 49.1%)로 뛸 것이라는 정부 추계와 관련해 "인구와 성장 변수의 변화, 지출 절감 노력 등에 따라서 국가 채무 비율은 매우 큰 폭으로 달라진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장기 재정 전망 결과는 현재 제도, 경제 여건 등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를 전제해 기계적으로 추계하기 때문에, 정년 연장·여성고용 확대 같은 구조개혁을 실행하면 국가채무비율이 '두자릿수'까지 낮아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류덕현 대통령실 재정기획보좌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요한 것은 미래의 정부 정책 대응"이라며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류 보좌관은 "중간 정도 출산율과 성장률의 시나리오에서 2065년 채무비율이 156.3%지만, 의무지출 순증가분의 15%를 절감할 경우 국가채무비율은 105.4%까지 낮아진다"며 "이재명 정부는 AI대전환, 첨단산업투자, 지역특화 신산업 육성 등을 통해 경제 성장률 제고하고 비과세 전반한 수입기반확충, 성과 저조 사업 과감한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재정 지속가능성을 높여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홍선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