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정부 주도 바이오시밀러 장려 정책 제안
정부, 심사 과정 단축·인센티브 정책 검토
|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대표는 5일 이재명 대통령 주관으로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K-바이오, 혁신에 속도를 더하다' 토론회에서 "정부 주도의 바이오시밀러 장려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대표는 "한국은 바이오시밀러 보급이 미국이나 유럽, 일본과 비교해 느리다"며 "그 이유는 정부 주도의 장려 정책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국 등과 국가와 같이 정부에서 장려 정책을 통해 바이오시밀러로 (처방을) 전환하는 제도를 만들거나, 이를 처방하는 의사들에게 인센티브를 주지 않으면 의사들이 환자에게 설명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며 시밀러로 전환하는 게 힘들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국가들은 의사들에게 처방에 비례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해 시밀러 보급률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저희도 장려 정책을 통해 시밀러 사용을 활성화하면 보건의료 재정에도 굉장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의사들이 오리지널 의약품을 선호하는 현상에 대해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표현했다. 이 대통령은 "오리지널이나 바이오시밀러나 약효는 같은데 왜 오리지널만 처방하느냐에 대해 환자들은 잘 모른다"며 "힘이 들더라도 빨리 해결해야 할 문제다. 일종의 부조리일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바이오시밀러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는 복지부에서 제도로 만들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정은경 복지부장관은 "말씀 주신대로 오리지널 의약품에 대한 의사들의 선호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그 부분에 대해 제안해 주신 부분을 저희가 제도 개편할 때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바이오시밀러 임상3상 심사 과정을 단축해 이를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오 처장은 "바이오시밀러 임상3상에 돈과 시간이 많이 드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식약처 실무 그룹이 미국이나 유럽의 규제 기관과 논의 중으로, 안전에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임상3상에 심사자료를 간소화하기 위해 9월 중 민관협의체를 발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