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대위는 "광주군공항 이전 6자 협의체 가동이 되지 않은 시점에 군 공항 이전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공표한 것은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것과 다름없다"며 "협의체에서 충분한 논의와 합의가 결정되기도 전에 A 신문사를 통해 왜곡된 내용을 담아 신뢰할 수 없는 여론조사를 실시·공표해 또다시 무안군민을 현혹시켜 분열을 시도 여론몰이하려는 꼼수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번 여론조사 질문지를 누가 의뢰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광주 군 공항 이전이 광주시 지역현안임에도 마치 무안군 현안사업인 것처럼 포장했다"며 "이재명이 대통령이 제시한 △국가지원 △대통령실 직속 TF 구성 △충분한 보상을 전제로 달고 군 공항 이전 찬·반을 물어보는 것은 찬성률을 높이려는 수단일 뿐이며, 무안군민을 호도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아 참으로 개탄스럽다"고 강조했다.
또 "국내 여론조사의 약 80%가 ARS(자동응답시스템)조사로 전화를 받는사람이 100명중 5명 꼴로 응답률이 5%이내다 보니 ARS 조사에 대한 불신이 높다. 전문가들도 여론조사는 여론을 측정하는 수단이지 여론 그 자체로 받아들이면 안된다는 실정이다"며 "무엇보다도 지난 2014년 7월 14일 우리나라 조사업계를 대표하는 한국조사협회(KORA)는 신뢰성에 한계가 있는 ARS 조사를 하지 않기로 결의했음에도 불구하고 A 신문사가 ARS조사 방식을 활용한 것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며, 결코 신뢰하지 못하는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범대위는 "방식도 문제지만 내용은 더 가관이다. 무안군에 대한 지원,'기부대양여'방식의 한계 등 군 공항 이전사업의 본질적인 문제는 언급조차 없고, 광주시의 유리한 입장만 내비추는 매우 저급한 여론공작임이 분명하다"며 "이번 여론조사는 지극히 한 쪽에 치우진 방향 설정이 된 것으로 객관성과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았는데도, 각종 언론사에 나팔수 역할을 통해 언론플레이하는 것도 자제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광주지역의 일방적인 내용을 담아 여론조사를 실시·공표하는 것은 지역간 갈등의 불씨를 다시 지피는 것으로 여론조사 등과 같은 사항들은 6자 협의체에서 숙의를 거쳐 진행돼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현재 대통령실 TF팀과 무안군 실무진이 사전협의를 통해 무안군의 최종 입장을 전달하고, 대통령실에 답변을 기다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지금은 여론조사로 군민들을 호도할 때가 아니라, 대통령실은 무안군의 입장을 적극 수용해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 모두가 민주적 협의와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해법을 찾아야 중요한 때이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