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소방서 1상담사’ 추진…상담사 146명·내부 전문인력 추가 투입
R&D 65% 증액, 전기차 화재·산사태 등 신종 재난 대응 강화
|
소방청은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민·소방관 안전 강화를 위한 주요 정책'을 발표했다. 이번 정책은 지난 7월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 보호와 소방대원 안전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한 뒤 마련된 후속 조치다.
내년도 소방 R&D 예산은 503억원으로, 올해보다 64.9% 늘어난다. 전기버스 등 대용량 배터리 화재 대응기술 개발과 산사태·싱크홀 등 자연재난 현장에서 신속한 대응을 위한 구조·탐색 장비 및 개인보호장구 개발 등 긴급성이 높은 연구과제를 조기 추진한다. 국방부·방위사업청과 협력해 근력강화 슈트, 무인 수중탐색 선박, 플라즈마 살균기 등 국방 첨단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용하는 사업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오승훈 소방청 기획조정관은 "기술 개발을 위해 수요 발굴 단계에서 60명 규모의 119현장자문단과 100여 명의 장비자문단을 운영했다"고 말했다.
소방공무원의 정신적 부담을 국가 차원에서 줄이기 위한 대책도 강화된다. 최근 조사에서 소방관 100명 중 7명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는 것으로 나타나 상담사 확충과 긴급 심리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내년도 보건안전 예산은 51억원으로 8% 증액됐으며, 이 중 48억원(94%)이 마음건강 지원에 배정됐다. 현재 128명인 상담사는 내년 146명으로 확대되고, 최종적으로는 268명 충원을 목표로 '1소방서 1상담사' 체계를 구축한다. 내년 6월 개원 예정인 국립소방병원에는 정신건강센터를 설치해 대원들의 트라우마 회복과 정신건강 증진을 지원한다.
허석곤 소방청장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재난환경 변화에 과학적으로 대비해 현장 대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