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김정은, 방중 후 첫 행보 ICBM 고체연료 엔진 시험…핵·미사일력 완성해 對美 압박 강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9010005066

글자크기

닫기

지환혁 기자

승인 : 2025. 09. 09. 16:02

김정은, 대출력 고체엔진시험 참관<YONHAP NO-1538>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미사일총국이 화학재료연구원과 함께 탄소섬유복합재료를 이용한 대출력 고체발동기(엔진) 지상분출시험을 진행했다고 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해 북중러 결속을 다졌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번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북미대화 협상테이블로 이끌기 위한 대미 압박에 나섰다. 김 위원장은 방중에서 복귀한 후 첫 행보로 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엔진 능력을 과시한 것이다. 북한은 대미 압박을 위해 다음 달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식을 전후로 신형 고체연료 엔진을 탑재한 ICBM을 시험발사를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 8일 북한 미사일총국이 화학재료연구원과 함께 진행한 대출력 고체 발동기(엔진) 지상분출 시험을 참관했다고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탄소섬유 고체엔진 개발을 "경이적인 결실"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국방기술 현대화사업에서 가장 전략적인 성격을 띠는 성과"라며 "핵전략무력을 확대강화하는 데서 중대한 변화를 예고한다"고 평가했다.

이번 발동기 지상분출시험은 9번째로 개발공정에서의 마지막 시험이라고 북한은 주장했다. 그러면서 발동기 최대 추진력은 1971kN(킬로뉴턴)이라고 엔진 성능도 과시했다. 북한은 지난 2일 김 위원장의 방중 직전 고체엔진 개발 상황을 점검하면서 ICBM 화성-19형 계열들과 다음 세대 화성-20형에 이용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최대 추진력 1960kN의 추진력이라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했는데 이번 시험에서 1971kN으로 더 정확한 추진력 수치를 공개하면서 성공적인 개발을 과시했다.

북한의 신형 ICBM 화성-20형의 단계별 공개는 살라미식으로 안보 긴장감을 고조시켜 북미 간 협상테이블 마련을 위한 전술이라는 평가다. 군사전문기자 출신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일 화성-20형 탄두부를 공개하고, 이날 화성-20에 탑재될 신형 고체연료 엔진을 시험 공개한 것을 살라미식 전술로 긴장감을 고조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10월 10일 노동당 창건일 전후로 신형 ICBM 화성-20형에 신형 고체연료 엔진을 탑재해 시험발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북한의 ICBM 시험발사는 지난해 10월 31일 '화성-19형'이 마지막이다. 만약 신형 ICBM 발사에 나선다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이 때문에 이번 엔진 시험 공개는 북미대화에서 핵보유국 위상 확보하기 위한 의지라는 평가도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대기권 재진입에 대한 러시아 기술지원까지 받았다면 '완성형' ICBM으로 평가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며 "국방발전5개년계획 마지막을 장식하고, 내년 1월 개최 예정인 제9차 당대회의 축포용으로 활용하면서, 대미협상을 앞두고 핵보유국 인정을 압박하고자 올해 내 시험발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신형 ICBM이나 전술핵 관련 내용을 북한이 공개하는 것이 미국을 자극하고 대북 억제 명분으로 전략자산 전개와 대중국 군사적 압박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중국은 매우 민감하게 바라본다"며 "그러나 북한의 이 같은 공개 행보는 중국의 양해 또는 묵인이 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이뤄지고 있거나 전승절 효과를 활용해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위상을 과시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 가능하다"고 말했다.
지환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