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케이캡, 이중항혈소판요법 시 PPI 보다 안전한 대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0010005445

글자크기

닫기

배다현 기자

승인 : 2025. 09. 10. 10:36

심혈관 환자 치료에서 케이캡과 PPI 비교분석 결과 발표
케이캡 복용군, PPI 대비 위장관 출혈 위험 감소 확인
"PPI 대비 효과적이고 안전한 위장보호 약물"
사진2.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시리즈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시리즈/HK이노엔
HK이노엔의 P-CAB 신약 '케이캡'이 이중항혈소판요법(DAPT) 치료 환자에게 PPI의 효과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 PPI 복용군 대비 위장 출혈 위험을 28%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HK이노엔은 10일 심혈관 환자 치료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과 PPI계열간 안전성을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중항혈소판요법은 심혈관질환 환자에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허혈성 사건을 줄이는 치료법이지만, 위장관 출혈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장관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PPI계열 약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항혈소판제와의 약물 상호작용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 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은 △빠른 약효 발현 △긴 지속시간 △낮은 약물 상호작용 등의 특성을 가진 P-CAB계열의 케이캡에 주목하고, PPI계열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이중항혈소판요법으로 치료받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국 단위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내에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급성 심근경색(AMI) 환자 중 이중항혈소판요법과 함께 PPI계열 약물 또는 테고프라잔을 복용한 환자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케이캡 복용군은 1년 내 위장관 출혈 위험이 PPI 복용군 대비 약 2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주요 심뇌혈관 사건 위험은 증가시키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용인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용철 교수는 "이중항혈소판요법(DAPT) 치료를 받는 동아시아 심근경색 환자에서 케이캡이 기존 PPI 대비 효과적이고 안전한 위장보호약물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용인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오현 교수는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심혈관질환 환자가 늘고, 이에 따라 사망률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시술 후 이중항혈소판요법(DAPT)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장관 출혈 관리가 중요한데, 이번 연구 결과는 케이캡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달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ESC 2025)에서 포스터로 발표됐다.
배다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