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핀테크 투자 지형 변화…디지털 자산·AI 중심 재편
|
삼정KPMG가 10일 발간한 '글로벌 핀테크 2025년 상반기 투자 결과 분석과 전망'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글로벌 핀테크 투자 규모는 447억달러(2216건)로 반기 기준 최근 5년 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그간 핀테크 산업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결제(Payment) 분야는 투자가 급감했다. 상반기 투자액은 46억달러로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B2C 기반 결제 모델의 성장 한계로 매력이 감소했고, 대신 API 기반 인프라, 크로스보더 결제, 실시간 정산 등 B2B 중심의 효율화 솔루션으로 관심이 전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신 스테이블코인과 자산 토큰화와 같은 디지털 자산 분야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세계 각국에서 규제가 정비되며 관련 제도 도입이 가시권에 들어오자 스타트업과 투자자들의 신뢰가 높아지고 있다는 평가다. 이번 상반기에만 지난해 전체 투자액(107억달러)에 근접한 83억달러가 유치됐다.
AI 기반 핀테크 기업 역시 72억달러를 확보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기업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AI를 적극 도입하는 가운데 생성형 AI(GenAI)와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효율성 개선 솔루션이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세호 삼정KPMG 전무는 "상반기 핀테크 투자는 전략적 성격이 강했으며, AI로 무장한 기업들이 투자자의 주목을 받았다"며 "생성형 AI와 에이전트형 AI를 통해 비용절감 및 효율성을 높이는 스타트업은 향후 프리미엄 평가와 투자 유치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홍콩, 싱가포르 등 스테이블코인 규제 정비와 서클 IPO 등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각국의 통화 패권 경쟁이 가속화되는 한편 국내에서도 스테이블코인과 STO 등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