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인천 곳곳에서 피해 속출
경찰, 다각도로 사태 원인 조사 중
|
경기 수원에서 사는 A씨(34)는 10일 이렇게 말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휴대폰을 통해 돈이 빠져나가는 'KT 소액 결제 사태' 얘기다. 이는 서울 금천과 경기 광명 등에서 거주 중인 이들 대상으로 휴대폰에서 수십만원 정도가 결제되고 있는 일이다. 해당 지역을 지나가기만 해도 결제된다는 괴담에 A씨는 '휴대폰 소액결제 원천 차단'까지 했다. A씨는 인근 다른 지역에서도 피해 사례가 나오면서 걱정이라고 호소했다.
A씨는 "나도 모르는 사이 정보가 빠져나가고 결제까지 되는 것 아니겠느냐. 일단 할 수 있는 조치를 하려 한다"며 한숨을 쉬었다.
서울 동대문에서 거주 중인 B씨(26)도 전날 휴대폰 소액결제를 차단했다. 본인 역시 예외가 아닐 수 있다는 같은 이유였다. B씨는 통신사 변경까지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B씨는 "정말 무서운 세상"이라고 했다.
이른바 'KT 소액 결제 공포'가 시민들을 덮쳤다. 서울 금천과 경기 광명에서 시작된 '소액 결제' 피해 사례가 인접 지역인 경기 부천·과천, 인천 부평 등에서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은 잇따르는 신고에 사건을 광범위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경기남부경찰청(남부청)은 지난달 27일부터 전날 오후 6시까지 서울 금천서, 경기 광명서·부천소사서에서 전체 124건을 받았다. 피해자는 125명, 피해액은 8060만원이다. 불과 2주 동안 벌어진 일이다. 소액 결제 특성상 피해액이 비교적 적어보이지만 피해자가 급격히 늘고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서울 영등포와 경기 과천, 인천 부평 등에서도 신고가 속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경찰은 'KT 소액 결제' 사건과 같은 경우인지를 조사하고 있다. 똑같은 사례라면 피해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사건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서 살고 있는 A씨, B씨가 휴대폰 소액결제를 완전히 차단한 이유다.
경찰은 다양한 각도에서 사태의 원인 등을 살펴보고 있다. 사태 원인으론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이 거론되고 있다. 지난 8일 현장 조사를 한 과학기술정통부(과기부)는 이를 원인 중 하나로 지목했다. 특히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다른 지역에서도 통신망에 접근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추가 피해 사례가 나올 수 있는 대목인 것이다. 이에 과기부는 KT에 즉각적인 불법 기지국의 통신망 접근 금지 대책을 요구한 상황이다. 현재 KT는 지난 1일 경찰로부터 '연쇄 피해' 사실을 들었지만 "그럴 일은 없다"는 취지로 답해 '늑장 대처' 논란이 일고 있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경찰 관계자는 "들어오는 신고에 대해 단서들을 토대로 면밀히 보면서 유사 사건인지 판단하고 있다"며 "관련 사건이 지금보다 많아질 수 있는데 자세한 것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