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사설] 혁신당 ‘산파’ 탈당에도 조국 비대위원장 강행하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0010005835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5. 09. 11. 00:00

조국혁신당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 /공동취재
조국혁신당 창당준비위원장을 지낸 은우근 상임고문은 10일 당내 '성 비위 사건'을 비판하며 직을 내려놓고 탈당했다. 혁신당이 성 비위 사건을 수습할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 추대를 결정하고 바로 다음 날 나온 탈당 행보여서 그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성 비위 사건 피해자들도 조 원장의 비대위원장 추대에 반대하고 있어 11일 혁신당의 강행 여부에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은 고문은 혁신당 창당 당시 조국 전 대표를 지근에서 보좌하며 당의 산파역을 했던 인물이다. 당의 기틀을 다져온 창당 공신인 그의 탈당은 당내 성 비위 사건에 대한 미흡한 대처와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에서 비롯됐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탈당을 알리며 "성 비위 사건 피해자와 피해자 대리인에 대한 매우 부당한 공격이 시작됐다"며 "잔인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극히 위험한 일"이라고 경고했다. 은 고문의 탈당은 성 비위 피해자 측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조 원장을 굳이 비대위원장에 추대한 것에 대한 반발의 의미라는 해석이 나온다.

은 고문에 앞서 조 원장의 대학 동기이자 역시 혁신당 창당준비위원장을 지낸 장영승 전 서울경제진흥원 대표는 "앞으로 당분간 조 원장은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보다 잠시 쉬면서 시간을 갖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조 원장이 지난 6일 경청의 의미로 오른손을 귀에 대고 있는 사진으로 SNS 프로필을 바꾼 직후였다. 장 대표 역시 당내 성 비위 사건과 관련해 지난 7월 탈당계를 냈다. 당시 그는 당내 성 비위 사건을 듣고 수감 중인 조 원장에게 면회를 신청했으나 답변이 없어 탈당계를 냈고 그 뒤 조 전 대표를 어렵게 면회해 상황의 심각성을 알렸다고 한다.

혁신당과 운명을 같이해 온 인물들이 잇따라 성비리 사건 처리에 대한 불만을 내비치며 탈당을 했지만 혁신당은 결국 '도로 조국'을 택했다. 당 지도부 총사퇴 후 의원총회를 열고 비대위원장으로 조 원장을 추대하기로 한 것이다. 이 과정에 조 원장의 '옥중 한계' 책임회피 등을 이유로 반대 의견이 많아 의총이 4차례나 열렸다고 한다. 하지만 결국 조 원장을 추대함으로써 '1인 사당(私黨)'의 한계를 스스로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조 원장의 비대위원장 선출 여부와 관계없이 공정한 사건 처리를 주문하고 있는 사건 피해자들과 당원들의 목소리는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차대한 사건에 대해 은폐, 무마, 2차 가해 등을 자행해 온 공당에 대한 불신이 높기 때문이다. 혁신당은 철저한 반성과 쇄신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이번 사건이 더 큰 역풍으로 다가올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