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승돈 농진청장 “벼 수확기까지 병해충 예찰·방제 총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0010005961

글자크기

닫기

세종 정영록 기자

승인 : 2025. 09. 10. 18:18

10일 고창·당진 재배단지 점검
벼멸구 발생 시 약제 지원 등 조치
'수발아 예보 서비스' 적극 활용 당부
당진 가루쌀 재배 현장 점검1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오른쪽 첫 번째)이 10일 충남 당진시 대호지면 가루쌀 이앙 및 직파재배 단지를 방문해 관계자들과 생육을 점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10일 "벼 안정 생산을 위해 수확기까지 병해충 예찰 및 방제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이날 전북 고창군과 충남 당진시에 위치한 벼 재배단지를 찾아 생육상황을 점검하고 이같이 말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이 청장은 지난해 대규모 벼멸구 발생으로 심각한 피해를 본 지역의 벼 병해충 예방·경감 대책을 재차 확인하고, 방제 이후 재배단지별 관리 현황을 확인했다.

이 청장은 "충남, 전북, 전남, 경남 등 서남해안 지역 4개도 20개 시·군을 중심으로 중앙·지방 합동 예찰과 현장 기술지원을 통해 벼 비래해충 밀도 저감 및 방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농가에서도 병해충 발생 초기 신속 방제로 안정 생산에 총력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농진청은 벼멸구 발생 시 긴급 공동 방제를 위한 약제 지원 등 신속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지난달 각 도 농업기술원과 초동대응부터 긴급방제까지 단계별 실행 절차를 점검하는 모의훈련을 실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중이다.

이 청장은 같은 날 당진시 대호지면 가루쌀 이앙 및 직파재배 단지도 방문해 가루쌀 등숙기(이삭 여무는 시기) 생육을 살폈다. 점검 결과 집중호우에도 빠른 퇴·배수 관리와 병해충 예방 조치로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농진청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수발아 예보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 청장은 "시스템을 통해 수발아, 고온해, 수해, 저온해 등 9종의 재해 발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며 "농업기상 재해 예보 알림 서비스의 정확도를 올리고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 서비스 고도화에 주력하겠다"고 전했다.
정영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