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간의 성과와 올해 하반기 정책 추진계획을 밝혔다.
전 장관은 취임 후 성과로 △부산 이전 예비비 867억원 확보 △내년도 예산안 7조3287억원 편성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경남 통영·경북 포항) 선정 △해운산업 위기대응펀드 2조원으로 확대 △중소선사 지원프로그램 5000억원으로 확대 등을 제시했다.
특히 그는 "수산 분야에서는 여름철 고수온 재해피해 예방을 위해 긴급방류 행정절차를 대폭 간소화하고 방류 보상단가를 높였다"며 "그 결과 올해 역대 최고를 기록한 무더운 여름이었음에도 고수온 피해 신고 규모는 전년 대비 4%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진해신항 착공, 연안여객선 전기차 화재대응 장비 보급, 항만 안전관리 인력과 어선원안전감독관 증원 등도 주요 조치로 꼽았다.
전 장관은 올해 남은 기간에는 "10월부터 해수부 이전청사 내부 공사에 착수해 12월까지 이전을 완수하겠다"고 강조했다. 직원 정착을 위한 전·월세 지원, 관사 제공, 맞춤형 이전 컨설팅도 병행한다.
아울러 차관 중심으로 운영해왔던 '북극항로 TF(테스크포스)'는 장관 직속 총괄체계로 격상하고, 전문가 자문위원회와 민관 합동 위원회를 구성한다. 내년 초 법 시행에 맞춘 해상풍력 계획입지 마련,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1곳 추가 선정, 제4차 UN해양총회 유치도 추진한다.
수산 분야에서는 '스마트 수산업 혁신 선도지구'(10만평 규모) 지정, 기후변화 복원해역 도입, 구명조끼 보급·착용 의무화 제도개선을 연내 완료한다. 해운·항만 분야에서는 인공지능(AI) 자율운항선박 연구개발(R&D) 예타면제 추진, 광양항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 조성, 진해신항 컨테이너 부두 착공을 예고했다.
전 장관은 "올해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을 완료하면 내년은 '해양수도권 원년'을 맞이하게 된다"며 "부산에서 해양수도권 육성과 해양수산 주요 정책과제들을 더욱 역점적으로 추진해 국민 여러분께 더 많은 실적과 성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의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