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극명, 日 기업 中 엑소더스와 中 기업 日 대진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1010006628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9. 11. 16:38

日 기업들 中에서 속속 철수
반대로 中 기업들 日 적극 진출
향후 더욱 심해질 가능성 농후
중국과 일본 기업들의 각각 상호 국가에서의 행보가 최근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중국에서는 일본 기업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반면 바다 건너 열도에서는 정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분위기로 볼 때 향후에도 이런 괴기한 현상은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clip20250911163309
베이징 펑타이구 소재 일본의 쇼핑몰 이온몰 전경. 오는 30일 일본 본사의 중국 내 사업 철수 방침에 따라 문을 닫는다. 일본 기업들의 '차이나 엑소더스' 현실을 그대로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징지르바오(經濟日報).
현재 중일 관계는 도무지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고 해야 한다. 특히 중국에서는 반일 정서가 팽배해 있기까지 하다. 당연히 일본 기업에 대한 인상이 좋을 까닭이 없다. 시장에서 고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해야 한다. 더구나 최근 들어서는 중국의 제조업 분야 기술력 발전으로 경쟁력까지 빠른 속도로 약화되고 있다. 과거처럼 사업이 잘 될 까닭이 없다. '차이나 엑소더스'에 나서지 않는다면 이상하다고 해야 한다.

실제로도 지난 2020년 이후 2000여 개 가까운 일본 기업들이 중국 각지에서 철수를 하거나 사업을 대폭 줄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투자 규모가 비교적 큰 자동차 분야의 미쓰비시, 혼다, 토요타 등의 대기업들도 포함돼 있다. 특히 혼다는 최근 합작법인들의 근로자 감원을 결정하면서 여차 하면 철수 행렬에 동참할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급기야 최근에는 일본을 대표하는 쇼핑몰인 이온몰(Aeon Mall)의 완전 철수까지 현실이 됐다. 현재 전국에 산재한 17개에 이르는 매장을 조만간 정리한 후 빠른 시일 내에 중국 사업을 접을 것이 확실하다. 그래서인지 베이징의 유일한 매장인 펑터이(豊臺)구 소재 이온몰의 현장 모습은 마치 폭탄을 맞은 듯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30일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접는다는 소문이 분명한 사실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반면 중국 기업들의 일본 진출은 정반대로 활발하기 이를 데 없다. 2024년 말을 기준으로 1500여 개 기업들이 이른바 일본을 대상으로 한 쩌우추취(走出去·해외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는 만큼 그야말로 대폭발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업종들 역시 다양하다. 가전을 비롯한 제조업을 비롯해 통신 설비, 전자상거래, 게임 및 오락, 신에너지자동차 분야의 대표적 기업들이 일본 시장 공략을 위해 총출동하고 있다고 보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이중 가전, 특히 TV 분야에서는 시장을 거의 점령한 듯한 분위기를 풍긴다. 중국계 기업들이 50% 전후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면 이렇게 단언할 수 있다. 일본 기업의 '차이나 엑소더스', 중국 기업의 일본 대진군 현상을 분명히 증명한다고 해도 좋지 않나 싶다. 과거에는 감히 생각할 수도 없었던 양상이 아닌가 보인다. 상전벽해가 따로 없다고 해야 할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