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과기부 ‘특화 AI 행정서비스’ 도입 속도…내년 하반기 목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1010006632

글자크기

닫기

배석원 기자

승인 : 2025. 09. 11. 17:31

AI 연구수행 기관과 민간 전문가 그룹 병행 운영
"보도자료 작성·각종 상황보고서 등 AI 작업에 포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전방위적인 투자와 사업을 확대 중인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부처 내 인공지능(AI) 도입을 위한 준비에 들어간다. 먼저 AI 적용의 효율성 강화 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이후 본격적으로 AI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AI 주무 부처로서 과기부 내에도 인공지능 전환(AX) 실현을 위해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과기부는 'AI 활용을 통한 행정 생산성·효율성 강화 방안 연구' 에 참여할 기관을 오는 14일까지 접수한다. 수행 기관이 선정되면 이달 말부터 연구를 진행해 내년 2분기부턴 '내부망 AI 플랫폼 구축' 작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과기부 공무원들이 업무현장에서 본격 활용할 수 있는 시기는 내년 하반기를 목표하고 있다.

이번 용역 연구 기간에는 법령과 제도, 보안, AI 기술 등의 시장 조사와 최근 3년간 과기부 내 생산 문서와 주요 정보화시스템 현황(IRIS·NTIS) 분석, 직원 간담회와 인터뷰 등을 통해 필요한 기술 수요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부처 특화 AI 행정서비스 도입을 위한 세부 추진 방안을 정립한다는 구상이다.

이외에도 △지능형 검색시스템 구현 △거대언어모델(LLM) 활용전략 △운영 방안(GPU서버, 스토리지 등) 도출 등도 포함된다. 과기부 관계자는 "향후 구축 운영 방식에 따라 GPU를 구매하거나 임대하는 방식 형태가 될 수도 있어 구축 방식에 따라 운영 구조는 달라질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 수행기관이 선정될 이달 하반기 중 플랫폼 고도화를 위해 교수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그룹도 운영해 기술·정책 필요성 등 강조해 나갈 계획이다. 또 과기부 내 혁신본부 등이 포함된 별도 태스크포스(TF)도 만들어 행안부와 국정원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보안 사항 등을 점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중앙행정기관인만큼 이후 구축 과정에서 문서 작업은 필수적으로 요구할 것이고 보고와 관련된 지시사항, 일정 관리 등의 기능은 필수적으로 포함될 예정이다"면서 "각종 상황보고서, 보도자료, 회의록 등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부내 전반적인 작업을 모두 염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과기부는 이후 'AI 기반 특화 행정서비스 구축'이 끝나면 AI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기 위한 중장기 이행 로드맵 방안'도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배석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