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도입할 것"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경기도 의왕시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에서 AI 로봇·자동차 분야 대표기업과 관계부처·유관기관이 참여한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고 "정부는 AI 로봇과 자동차 분야에서 우리 기업이 세계 1등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 전폭 지원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2030년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내년 신규 사업으로 피지컬 AI 원천기술개발에 150억원을 투입한다. 범용 휴머노이드 기술개발도 올해 110억원에서 내년 300억원 등으로 늘려 R&D 지원을 확대하고, 휴머노이드 개발·실증지원센터도 2029년까지 100억원을 들여 구축해 실증 인프라를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또 2027년 무인 완전자율주행차(Lv.4) 상용화를 위해 자율주행 개발 목적의 데이터 활용 제도개선, 안전조치 전제 교통약자 보호구역 내 자율주행 허용 등 과감한 규제완화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2028년까지 자율주행 특화 AI반도체 개발에 580억원을 투입하고, 실생활 공간 내 자율주행 기반 공공서비스 실증을 추진하는 한편, Lv.4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도 최초로 도입할 예정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차 등 피지컬 AI 분야는 제조업 기반과 ICT 인프라에 강점을 가진 우리나라가 선도할 수 있는 미래 유망 신산업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정부의 AI 대전환 선도프로젝트 추진에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중국과의 경쟁 심화, 높은 개발비용, 실증 인프라 부족, 데이터 활용 어려움 등 애로사항을 제기하면서 정부의 R&D·실증지원, 공공구매 확대 등 수요창출 지원, 과감한 규제개선 등을 건의했다.
정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을 면밀히 검토하여 향후 정책 수립과 제도개선에 적극 반영하고, 이번 AI 로봇·자동차 분야를 시작으로 AI 대전환 선도프로젝트별 현장 간담회를 지속 추진하여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한 분야별 세부 지원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은 AI 전환 위한 광케이블·HBM 등 IT 기반이 탄탄하고 제조역량(Full-Stack)에서 암묵지를 보유한 데다 AI시대 쌀인 데이터도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부는 내년 AI 예산을 10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배 이상 확대했다. 전분야 AX, 인프라, 인재, 자금 중점 지원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