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소비쿠폰 안내문자 100% 사기”…정부, 스미싱 주의보 발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4010007475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9. 14. 14:12

배너 링크·앱푸시 기능도 제공 안 해…전부 사기 의심해야
의심 문자 수신·클릭 시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로 신고
스크린샷 2025-09-14 112228
소비쿠폰 관련 스미싱 유형 및 피해예방 대응요령./행정안전부
정부가 이달부터 지급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노린 스미싱 사기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고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행정안전부(행안부)는 14일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를 노린 정부·카드사·은행 사칭 스미싱 공격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청 안내, 지급 대상·금액 통보, 카드 승인 알림 등으로 가장한 문자 메시지는 전부 사기라고 강조했다.

스미싱은 문자(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를 전송해 이용자가 설치·접속하도록 유도한 뒤 개인정보·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지난 1차 소비쿠폰 지급 당시에도 총 430건의 스미싱 시도가 탐지됐으나 피해 사례는 없었다. 당시 유형은 불법 도박사이트 광고와 접속 유도가 대부분이었지만, 일부에서는 개인정보 탈취형 악성 앱이 발견됐다. 특히 해당 앱은 감염 후 주변인에게 스미싱 문자를 재전송하는 기능까지 있어 2차 지급을 앞두고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정부·카드사·지역화폐사는 이번 2차 소비쿠폰과 관련해 URL이 포함된 문자·SNS 안내문을 일절 발송하지 않는다. URL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배너 링크, 앱푸시 기능도 제공하지 않을 방침이다.

만약 의심 문자를 받거나 URL을 클릭한 뒤 악성 앱 감염이 의심되면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를 통해 24시간 무료 상담과 신고가 가능하다. 소비쿠폰 일반 문의는 정부민원안내콜센터에서 받을 수 있다.

정부는 또 12일부터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해 이용자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비대면 신청 페이지에는 '스미싱 주의' 안내 문구를 삽입하고, 은행·지자체 주민센터 등 대면 창구에서도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별도 안내를 병행한다.

금융감독원,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유관 기관과 협력해 스미싱 공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피해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수사에 착수하는 등 신속 대응체계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