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확답할 가능성 상당히 높아
북한 문제도 의제 될 수 있어
|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의 14일 전언에 따르면 조현 외교부 장관은 취임 후 처음으로 오는 17일 중국을 방문해 왕이(王毅) 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장관·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겸임)과 시 주석의 방한을 비롯한 양국의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왕 위원 겸 부장이 시 주석의 방한을 확답할 가능성이 거의 100%에 가깝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이렇게 단언이 가능한 이유는 많다. 무엇보다 중국이 내년 APEC 정상회의 개최국이라는 사실을 꼽을 수 있다. 차기 개최국 입장의 최고 지도자로서 반드시 참석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가 될 수 있다. 또 8월과 이달에 잇따라 특사단과 국회의장 일행이 방문해 시 주석의 방한을 강력 요청한 사실 역시 이유로 부족함이 없다.
조 장관과 왕 위원 겸 부장 간의 회담에서는 이외에 북한 문제도 주요 현안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달 3일의 중국 전승절을 계기로 열린 북중 정상회담에서는 비핵화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 '북핵 불용'이라는 중국의 입장이 달라진 것 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 것은 당연할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조 장관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양국의 일치된 목표를 재확인한 다음 이를 위한 중국 측의 건설적 역할을 거듭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또 중국이 한국 서해상에 무단으로 설치한 구조물 역시 논의 석상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조 장관이 취임 후 미국 워싱턴포스트와 가진 인터뷰에서 "동북아시아에서 우리는 중국이 이웃 국가들에 다소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이 또 다른 문제"라고 말한 사실을 상기하면 분명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조 장관은 취임 직후인 지난 7월 왕이 위원 겸 부장과 처음 통화를 한 바 있다. 이때 "한국은 한중 관계를 고도로 중시한다. 양국 고위급 교류를 긴밀히 하면서 미래를 향해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더 큰 발전을 얻도록 추진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왕 위원 겸 부장 역시 한국의 대중국 정책이 "안정·지속가능·예측가능하게 이뤄져 동요를 피하기를 희망한다"면서 "중한 관계는 어떤 제3국으로부터 제한을 받아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한중 관계가 이제 관계 회복을 위한 길로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해도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