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두산로보틱스, 업계 최대 규모 R&D센터 개소…AI 혁신 속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5010007701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09. 15. 08:55

성남에 ‘두산로보틱스 이노베이션 센터’ 오픈
제품 개발부터 완성품 테스트까지 한 공간에서
대외_두산로보틱스 이노베이션 센터
'두산로보틱스 이노베이션 센터'의 연구개발 인력들이 기술 및 제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두산
두산로보틱스가 업계 최대 규모의 로봇연구소를 성남에 개소했다. 총괄 책임자로는 소프트웨어 전문가인 오창훈 전 토스증권 CTO를 영입해 AI 혁신과 소프트웨어 강화를 동시에 나서기로 했다.

15일 두산로보틱스는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약 2000평 규모로 '이노베이션 센터'를 조성했다고 밝혔다.

이곳에서 전체 임직원의 40%에 해당하는 80여명의 연구인력이 유기적으로 소통한다. 지능형 로봇 솔루션 및 휴머노이드 관련 선행 기술 개발, 로봇 하드웨어 고도화, 로봇에 특화된 인공지능(AI) 개발, 소프트웨어 역량 확보 등을 수행해, 두산로보틱스의 혁신을 이끌 계획이다.

이노베이션센터는 고성능 구동 모듈, 컨트롤러 및 토크센서 등 로봇 핵심부품 개발부터 AI 기반의 모션 연구, 팔레타이징, 용접 등 신규 솔루션 개발, 품질 테스트까지, R&D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한 곳에 모았다. 연구인력들은 실시간으로 직접 만나 논의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 속도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장 면적이 넓은 품질 테스트 공간에서는 전원을 수천번 이상 온오프해도 이상이 없는 지, 최대 약 2m까지 뻗을 수 있는 로봇 팔이 물건을 들고 상하좌우로 쉬지 않고 움직여도 문제가 없는 지 등 다양한 테스트가 끊임없이 진행된다. 특히 두산로보틱스는 온습도 테스트 챔버를 구축해 로봇의 사용 온도 범위를 넘는 극한 환경에서 정상 작동 여부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한층 더 높일 계획이다.

이노베이션센터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한 작업을 형태, 기능 등을 고려해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인 실용적 휴머노이드 관련 기술 개발도 진행된다. 두산로보틱스는 여러 개의 팔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더 복잡하고 정교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암(Multi-Arm) 동시제어 기술', 다양한 환경에서 센서·알고리즘을 이용해 안전한 작업을 돕는 '충돌 회피기술', 로봇이 스스로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여러 단계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Long-horizon Task 기술' 등 '지능형 로봇 솔루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두산로보틱스는 총괄 책임자로 오창훈 전 토스증권 CTO를 전무로 영입했다. 오 전무는 네이버, 토스, 토스증권 등에서 수천만 이용자가 사용하는 플랫폼의 핵심 아키텍처를 설계·운영하며, 대규모 서비스의 신뢰성과 AI 혁신 속도를 동시에 끌어올린 소프트웨어 전문가다. 오 전무는 인지·판단·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로봇 솔루션 및 휴머노이드 개발을 위한 학습환경과 핵심 로직을 고도화하고, 두산로보틱스의 차세대 AI·소프트웨어 역량 강화를 이끌어갈 예정이다.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지난 4월 AI 혁신을 선언한 이래로 지금까지 전문인력 채용, 조직 개편, 미국 로봇 솔루션업체 인수, 이노베이션 센터 오픈 등 지능형 로봇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이니셔티브들이 순차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면서 "앞으로 축적된 산업 데이터와 우수 연구 인력의 역량을 기반으로 AI 기술을 고도화해, 두산로보틱스를 피지컬(Physical) AI 시대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