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훈부는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 대책을 발표했다.
보훈부는 현재 국립현충원(2곳)과 국립호국원(6곳), 민주묘지(3곳), 신암선열공원 등 전국 12개 국립묘지를 관리하고 있다. 국립묘지별로 봉안묘와 봉안시설(봉안당, 봉안담), 자연장지 형태로 안장한다.
최근 도자기형 유골함을 안장한 일부 묘역에서 물고임이 발생한 사례가 확인돼, 보훈부는 조경·토목·장례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5명)을 구성하여, 국립묘지 현지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봉안묘 형태로 땅에 도자기형 유골함을 매장할 경우 배수시설이 잘되어 있다 하더라도 호우 및 결로 등으로 유골함에 물이 고일 수 있고, 이는 민간 봉안묘 형태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향후 친환경 유골함 등 안장 방식에 대한 개선과 묘역 내 빠른 배수를 위한 배수시설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따라 보훈부는 유족이 희망하는 경우 재안장을 추진한다. 유골함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설명하고, 생분해되는 종이 소재의 '친환경 유골함'으로 재안장할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할 계획이다. 보훈부는 재안장 처리절차에 대한 매뉴얼을 마련해 각 국립묘지에 배포하고, 국립묘지별 재안장 신청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계획을 수립·추진할 방침이다.
배수에 지장을 주고 물고임 가중의 원인이 되는 석관 사용을 중지하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집수정'을 설치한다. 집수정은 현재 국립대전현충원에 설치되어 있으며, 올해 임실호국원을 시작으로 나머지 국립묘지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취약구역 파악을 위해 봉안묘가 있는 국립묘지에 물고임 측정용 유골함을 설치해 분기별로 점검한다. 보훈부는 반기마다 국립묘지 배수 상태 점검과 개선상황 등에 대한 전문가 조사를 진행헐 계획이다.
권오을 보훈부 장관은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으로 인해 유족과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 드리게 된 점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보훈부는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 대책을 철저히 이행해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에 대한 마지막 예우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