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위원장은 이날 취임사를 통해 "아직까지 우리 금융은 담보대출 위주의 손쉬운 방식에 치중하면서 부동산 쏠림과 가계부채의 누적을 초래하고 실물경제의 흐름과 괴리돼 경제의 혁신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위원장은 생산적 금융과 관련 "우리 금융이 보다 적극적으로 위험을 감내하면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견인할 생산적 영역으로 자금을 중개할 수 있도록 바꿔 나가겠다"며 "정책자금을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벤처·기술기업 등에 중점 공급해 민간 자금의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첨단전략산업기금을 기반으로 금융권 등과 함께 150조원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해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첨단전략산업과 관련 생태계에 전례 없는 대규모 맞춤형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건전성 등의 규제, 검사·감독과 각종 제도 등이 과도한 안정 지향과 부동산 쏠림을 유발하지 않는지 살펴보고 필요한 모든 부분을 바꾸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소비자 중심 금융으로의 전환과 관련해서는 "서민·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이 금융을 통해 재기해 안정적인 생활로 돌아가고, 다시 금융을 이용하는 선순환을 구축하겠다"며 "서민금융안정기금 신설 등을 통해 다양한 자금공급이 이루어지고 금융부담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해서는 "금융회사의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되도록 하고, 소비자의 시각에서 금융상품 판매 과정을 꼼꼼히 점검해보다 실질적인 사전적 보호 장치를 마련하겠다"며 "혹시라도 발생할 피해에 대비한 사후적 구제 장치와 분쟁조정 기능도 강화해 금융이 전달되는 모든 단계에서 금융 소비자 보호체계를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금융 안정과 시장 질서는 경제 시스템의 안전판이자, 신뢰의 기초"라며 "가계부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취약한 주력산업의 사업재편 등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점검·관리해 금융시장의 안정을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질서를 저해하는 불법·불공정 행위에 대해서는 주저하지 않고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며 "혐의가 포착되면 신속히 조사하고 위법에 대해서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적용해'불법으로 돈을 벌수 없다'는 원칙을 확립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