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m15까지 모두 1차 시기 만에 성공
여자 100m허들, 디타지 캄분지 우승
|
듀플랜티스는 15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장대높이뛰기 결선에서 6m30을 넘으며 개인 통산 14번째 세계 신기록을 썼다.
이날 듀플랜티스의 콘디션은 좋았다. 5m55, 5m85, 5m95, 6m00, 6m10. 6m15를 모두 1차 시기 만에 성공했다. 장대높이뛰기는 3번 연속 실패하면 그대로 경기가 끝난다.
경쟁자 에마누일 카라리스(그리스)는 6m00을 1차 시기에 성공했다. 하지만 6m10, 6m15, 6m20 도전에서 모두 바를 건드렸다. 카라리스가 3번 연속 실패하면서 듀플랜티스는 우승을 확정했다. 그는 높이를 6m30으로 높여 세계신기록에 도전했고, 3차 시기 만에 성공하며 기쁨을 맛봤다.
카라리스(6m00)와 호주의 커티스 마셜(5m95)이 각각 2, 3위에 올랐다.
듀플랜티스는 2022년 유진 대회에서 6m21을 뛰어넘어 개인 첫 세계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도 6m10을 날아올라 정상에 섰고, 이번 도쿄 대회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섰다. 듀플랜티스는 2021년 도쿄올림픽(6m21)과 2024년 파리올림픽(6m25)에서도 연거푸 금메달을 따낸 바 있다.
남자 장대높이뛰기 세계선수권 3연패는 세르게이 붑카(우크라이나)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기록이다. 장대높이뛰기의 전설 붑카는 1983년 헬싱키 대회부터 1997년 아테네 대회까지 무려 6연속 우승을 이뤘다. 붑카는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듀플랜티스는 미국 장대높이뛰기 선수 출신의 아버지 그레그 듀플랜티스와 육상 7종경기와 배구 선수로 뛰었던 스웨덴 출신 어머니 헬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머니를 따라 스웨덴 국적을 택했다.
듀플랜티스는 2020년부터 남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최고의 선수로 군림했다. 2020년 2월 9일 폴란드 토룬에서 열린 세계육상연맹 인도어 투어미팅에서 6m17을 기록하며 실내 세계기록을 6년 만에 갈아치웠다. 이어 같은해 9월 이탈리아 로마 다이아몬드리그에서는 붑카가 1994년 세운 6m14의 세계 기록을 1cm 넘어선 6m15 실외 세계기록을 세웠다.
듀플랜티스는 남자 장대높이뛰기 실내외 통합 1~14위 기록(6m17~6m30)을 모두 갖고 있다. 그는 올해 목표로 6m30을 뛰어넘고 도쿄 대회에서 3연패를 이루는 것이었다. 그는 도쿄 대회 출전에 앞서 "기술적으로 6m30 도전은 불가능하지 않다"며 "완벽한 하루가 다가오고 있다"고 공언한 바 있다.
여자 100m 허들에서는 디타지 캄분지(스위스)가 12초24로 우승을 차지했다. 조디 비미시(뉴질랜드)는 남자 3000m 장애물에서 8분33초88로 ㅇ승했다. 여자 해머던지기 결선에선 80m51을 던진 캠린 로저스(캐나다)가 대회 2연패를 이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