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현지시간) 로이터와 현지매체 등에 따르면 아이를랑가 하르타르토 인도네시아 경제조정장관은 전날 올해 4분기부터 시행될 16조 2300억 루피아(약 1조 3714억 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그는 "이번 부양책을 통해 올해 5.2% 경제 성장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번 부양책은 시위의 원인이 됐던 경제적 불평등과 서민들의 어려움을 완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주요 내용은 △저소득층 1830만 가구에 3개월간 쌀 10kg씩 지원 △도로·교량 등 인프라 건설에 60만 명 이상을 고용하는 일자리 지원 사업 △대학 졸업생 2만 명을 위한 유급 인턴십 프로그램 △관광업 종사자 소득세 면제 △승차 공유 오토바이 택시·트럭 운전사 산업재해보험료 50% 할인 등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금융시장의 반응은 아직 싸늘하다. 지난주 프라보워 대통령이 국제적으로 신망이 높았던 스리 물야니 인드라와티 재무장관을 전격 경질한 후폭풍이 거세기 때문이다.
'경제 안정의 상징'이었던 그의 퇴진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크게 뒤흔들었다. 이 여파로 최근 미국과의 무역 협정 타결 이후 상승했던 루피아화 가치는 대부분 반납된 상태다.
시장의 불안은 중앙은행(BI)의 통화정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달 9~15일 실시된 여론조사에 참여한 경제 전문가 31명 전원은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이 오는 17일 통화정책회의에서 루피아화 가치 방어를 위해 기준금리를 5.00%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더 큰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이 정부의 야심 찬 지출 계획을 지원하는 부담 공유(burden-sharing) 방식이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한 경제학자는 "재정이 통화정책을 지배하는 이러한 국면은 중앙은행 독립성의 약화를 시사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