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스토킹·교제폭력 피해 지원 453억 투입…‘비상벨·스프레이’ 지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6010008734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9. 16. 13:36

상담·주거·치료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통합 지원 확대
휴대용 비상벨·호신용 스프레이 등 안전장비 지급 강화
2025091101001052200062431
/연합뉴스
여성가족부(여가부)가 스토킹·교제폭력 등 범죄 피해자 보호 강화를 위해 내년도 예산을 크게 늘렸다. 피해자들이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안전망을 마련하고, 상담·주거·치료 등 통합적인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여가부는 2026년도 가정폭력·스토킹·교제폭력 피해자 지원 예산을 올해 425억 원에서 28억6000만 원(6.7%) 증액한 453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16일 밝혔다. 단순한 지원 규모 확대를 넘어 피해자들이 조속히 회복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피해자들에게 상담·주거지원·치료회복을 아우르는 맞춤형 통합 서비스가 제공된다. 기존에 분절적으로 운영되던 긴급 주거지원과 회복 프로그램은 통합하고, 피해자가 긴급 상황에서 지인에게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벨과 호신용 스프레이 등 안전장비 지원도 확대된다. 시설 외부 이동 시 불안을 호소하는 피해자들의 현실적인 요구를 반영한 조치다.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지원도 늘어난다. 동반자녀와 함께 입소할 수 있는 가족보호시설이 확충되고, 사생활 보호를 위한 1인실 도입 등 시설 환경이 개선된다. 또한 폭력피해자 대상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노후 시설을 보수해 피해자의 안정적 자립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예산 증액 내역을 보면 △스토킹·교제폭력 피해자 안전장비 지원 1억5000만 원 △가족보호시설 확대 1억7000만 원 △보호시설 및 주거지원시설 환경개선 1억7000만 원 △종사자 처우 개선 23억3000만 원 등이 반영됐다.

원민경 여가부 장관은 "스토킹과 교제폭력은 피해자의 신변뿐 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심각한 불안을 초래하는 범죄"라며 "예산의 효과적 집행과 함께 현장 간담회를 통해 정책 개선 의견을 폭넓게 반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