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6개 시·군서 장비 실증 추진
"장·단기 예찰 및 분석 기여할 것"
|
16일 농진청에 따르면 해당 장치는 '페로몬'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촬영영상을 인공지능(AI)이 자동 분석해 포획한 개체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올해 보성군을 포함한 전국 6개 시·군에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관찰 재배지에는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각각 포획할 수 있는 장치 3대와 환경 감지기(센서) 1대가 세트로 설치돼 있다. 수집된 정보는 트랩관제시스템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온도·습도·풍향·풍속 등 환경정보를 수집, 유입된 해충의 방향 추적과 방제 시기 예측에도 활용할 수 있다.
농진청 현장 검증 결과 장치의 영상 수신 및 포획량 판별 정확도는 9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수동 조사 방식에서 벗어나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집·분석함으로써 노동시간을 절감하고 예찰의 객관성, 신속성, 대응력을 크게 높일 것으로 분석됐다.
이 청장은 "장치는 기후변화로 돌발 해충 발생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신속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라며 "각 지역 관찰 재배지에서 장치를 적극 활용해 해충 데이터를 자동으로 축적·표준화하면, 장·단기 예찰과 분석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장치 보급을 확대하고 현장에 신속 적용해 동시다발적 해충 조사가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