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구윤철, “AI 팩토리 구축·확산…2030년까지 제조기업 40% 도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9010010861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지훈 기자

승인 : 2025. 09. 19. 13:38

카이스트서 'AI대전환 릴레이 현장간담회'
"AI 팩토리 500개 육성…10조원 규모 금융 패키지도 지원"
250919구윤철 부총리-AI 대전환을 위한 릴레이 간담회 및 현장방문-카이스트 (5)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19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열린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간담회'에 앞서 AI 팩토리 랩을 찾아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 제공=기획재정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우리가 가진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에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세계를 선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대전 카이스트(KAIST) AI 팩토리 랩에서 기업·전문가·관계부처와 함께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AI 기반 제조공정 혁신은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이라며 "제조업 전반의 AI 팩토리 구축·확산을 통해 생산성 제고 뿐만 아니라, 소비자 맞춤형 수요 대응(다품종 유연생산 시스템)에서부터 탄소 감축 및 작업장 안전 확보까지 우리 제조업을 A부터 Z까지 탈바꿈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의 일환으로 AI 대전환 15대 선도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있으며, 이날 간담회는 지난 12일 AI 로봇·자동차 분야에 이어 두 번째 현장 소통 자리다.

참석한 기업들은 포스코의 'AI 스마트 고로' 등 실제 사례를 공유하며, 세계적으로 뚜렷한 선도자가 없는 AI 제조 분야를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정부는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현재 5% 미만에서 2030년까지 4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AI 팩토리 선도사업 공장을 500개로 확대하고, 은행과 협력해 최대 10조원 규모 보험상품 및 2000억원 대출을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예산은 내년 2361억원에서 2026년 4366억원으로 늘리고,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자산에 가속상각을 허용하는 등 세제지원도 강화한다.

또한 AI 팩토리 특화모델 및 SW플랫폼, 초정밀 LAM(거대행동모델) 기술 등 피지컬 AI 기반 AI 팩토리 핵심기술 개발과 함께 테스트베드 조성, 글로벌 표준선점도 적극 지원한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청년 연구자들은 "AI로 대표되는 혁신의 물결은 연구현장에서 시작된다"며 연구 환경 개선을 요청했다. 정부는 AI·AX 대학원 확대(19곳→24곳), 생성형 AI 연구과제 확대(5건→13건) 등을 통해 1만1000명 이상의 고급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도 AI 인재, AI 선박·드론 등 릴레이 간담회를 이어가며 현장 의견을 반영한 세부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지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