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0년새 글로벌 기업 폭증한 中, 韓은 줄어…첨단산업 규제 풀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3010012831

글자크기

닫기

김정규 기자

승인 : 2025. 09. 23. 16:19

대한상의, '한미중 삼국지' 보고서 발간
美, 575 → 612개…中, 180 → 275개
한국은 줄어…"정책 패러다임 바꿔야"
대한상의 전경
대한상의 전경./대한상의
중국 기업들이 성장하는 속도가 한국 기업들보다 6배 이상 빠르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알리바바·BYD 등 첨단기술 및 IT 분야 기업들이 주로 성장을 이끌었는데, 새로운 기업들의 신규 진입이 많았다는 의미로 중국 기업생태계의 잠재성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10년 사이 글로벌 2000개 기업에 속한 기업들이 줄며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속도가 빠른 신인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첨단산업 차등규제를 푸는 등 정책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3일 미국 경제지 포브스 통계를 분석해 글로벌 2000대 기업의 변화로 본 '한미중 기업삼국지' 보고서(K-성장 시리즈 1편)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2000에 속한 미국기업은 10년 전 575개에서 현재 612개로 늘어났다. 반면 중국 기업은 같은 기간 180개에서 275개로 폭증했다. 한국은 오히려 66개에서 62개로 줄었다. 중국의 신흥 기업들이 글로벌 생태계를 바꾸고 있는 것이다.

포브스의 글로벌 2000은 시장 영향력, 재무 건전성, 수익성이 좋은 리딩(leading)기업을 모은 것으로 국가별로 분석하면 그 나라 '기업생태계의 힘'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기업생태계의 성장세도 한국은 미국과 중국보다 미흡했다. 글로벌 2000대기업 중 한국 생태계(한국기업의 합산매출액)가 10년간 15% 성장(2015년 1.5조달러 → 2025년 1.7조달러)한 반면, 미국은 63%(11.9조달러 → 19.5조달러) 성장했다. 중국은 95%(4조달러 → 7.8조달러) 성장했다. 성장스피드가 한국의 6.3배에 달하는 셈이다.

대한상의는 "중국의 기업생태계가 '신흥 강자'를 배출해서 힘을 키웠다면, 미국은 'AI 등 첨단IT를 활용한 빠른 탈바꿈'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은 엔비디아(매출 성장률 2787%), 유나이티드헬스(314%) 등 첨단산업·헬스케어 기업이 성장을 주도했으며 스톤X(금융상품 중개, 매출액 1083억달러), 테슬라(전기차, 957억달러), 우버(차량공유, 439억달러) 등의 새로운 분야의 기업들이 신규 진입하며 기업 생태계의 스피드를 올렸다.

여기에 실리콘밸리·뉴욕·보스턴 등 세계적인 창업생태계를 바탕으로 에어비앤비(숙박공유), 도어대시(음식배달), 블록(모바일결제) 등 IT기업들이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새로운 성장을 만들어냈다.

중국은 알리바바(이커머스, 1188%), BYD(전기차, 1098%), 텐센트홀딩스(온라인미디어·게임, 671%) 등 첨단기술·IT 분야 기업들이 주로 성장을 이끌었다. 또 파워차이나(에너지, 849억달러), 샤오미(전자제품, 509억달러) 등 에너지, 제조업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군에서도 글로벌 2000에 진입했다.

대한상의는 기업 생태계의 역진적 구조를 지적하며 성장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제언을 내놨다. 기업이 커질수록 지원은 줄고 규제는 늘어나는 탓에 성장 유인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기업성장포럼에서 일정 지역·업종이라도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며 메가샌드박스 활용을 제안했다. 또한 지원은 균등 분배보다 '될 만한 프로젝트'에 집중해야 한다며, 영국의 섹터 딜 사례처럼 산업계가 제안한 프로젝트에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규제 방향에 대해서는 '사전규제보다는 사후처벌', '규모별 제한보다는 산업별 기준'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AI 등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첨단산업에는 차등규제를 배제하고, '첨단전략산업법' 개정을 통해 규제 예외 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한 해에 중소기업에서 중견으로 올라가는 비중이 0.04%, 중견에서 대기업 되는 비중이 1~2% 정도"라며 "미국이나 중국처럼 다양한 업종에서 무서운 신인기업들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정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