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대한항공 등 'K-UAM 원팀'과 협력
|
KT는 지난해 전남 고흥에서 진행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비행 안전성, 통합 운용, 관제 연동 등 핵심 기술을 검증했다. 이번 자격 획득으로 KT는 UAM 상용화 추진의 핵심 사업자로 도약하게 됐다. 실증사업자는 향후 성과에 따라 정식 UAM 사업자로 지정될 수 있어, 상용화 로드맵의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된다.
KT는 오는 10월 말부터 인천 계양~청라 아라뱃길 구간에서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을 진행한다. 이번 실증에는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이 함께 참여하는 'K-UAM 원팀'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KT는 국내 최초로 5G 항공망을 기반으로 통신·기상·기체 이상 등 비정상 상황 대응 능력을 점검해 도심 운항의 안전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KT는 통신 장애, GPS 불안정, 기상 악화, 기체 이상 등 돌발 상황을 가정한 실증을 진행하고 실시간 판단·통제 기능을 시험한다. 기존 음성 기반 비행 허가 절차는 데이터 통신 중심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해 고밀도 운항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운용 체계를 선보인다.
KT는 자체 개발한 UAM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비정상 운항 상황을 가상 재현하고 교통관리체계와 연동 절차를 검증한다. 또 5G 항공망 기반 초정밀측위(RTK-GNSS)를 기존 항공감시기술(ADS-B, MLAT)과 연계해 GPS 두절 시에도 안정적인 저고도 감시가 가능한 체계를 시험한다.
앞서 KT는 인천 아라뱃길 15km 구간에 800MHz FDD 대역 5G 항공망을 구축해 안정적인 통신 품질을 확보했다. 효율성이 높은 고이득 안테나를 적용해 최소 기지국으로 전 구간 통신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이번 2단계 실증을 통해 통신 품질을 종합 검증할 예정이다.
원만호 KT 기술혁신부문 Experience Engineering본부장은 "국내 첫 UAM 실증사업자로서 미래 모빌리티 상용화를 주도할 기반을 확보했다"며 "K-UAM 원팀과 협력해 안전성과 기술력을 입증하고, 국가 신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