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韓 APEC 당면 과제는…관세협상 타결·미중 간 균형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6010010055

글자크기

닫기

지환혁 기자

승인 : 2025. 10. 26. 17:34

27일부터 APEC 정상회의 주간 본격 개막
관세협상, 한미·한중·한일 정상회담 잇따라
미중 간 중재자·북미대화 페이스메이커 역할 해낼까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에게 만년필 선물<YONHAP NO-4255>
이재명 대통령이 8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방명록 작성 때 쓴 만년필을 선물하고 있다. /공동취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간이 27일부터 본격 시작되면서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가 국익을 위한 성과를 낼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된다. 의장국인 한국은 이번 APEC에서 경제·안보·인공지능(AI)협력·인구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도출과 함께 미중 회담의 '중재자', 북미대화의 '페이스메이커' 역할까지 수행해내야 한다. 특히 전 국민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벌어질 미국과의 관세협상 타결은 우리 정부가 이번 APEC에서 받은 가장 큰 숙제다.

우리 정부는 이날부터 APEC 최종고위관리회의(CSOM), 외교·통상 합동각료회의(AMM)를 잇따라 열고 정상회의에서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최종 점검에 돌입한다. 정부는 APEC 정상회에서 'AI 협력'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 관련 논의를 핵심 성과물로 만들기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

국민의 시선은 대미 관세협상에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한미 통상당국은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기간에 관세 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채널을 열어놓고 막판 조율을 시도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미가 이미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확인한 상태이기 때문에 APEC 정상회의에서 진행될 한미 정상회담에서 최고 의사결정자 간 극적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는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동시 방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미, 한중 간 정상회담이 예정된 가운데 미중 간 벌어질 정상회담이 우리 국익에 미칠 영향도 지대하기 때문이다.

미중 갈등 사이 한국이 균형외교를 펼칠 수 있을지 여부는 이번 APEC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미중 간 '줄타기 외교'나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진 우리 정부가 의장국으로서 외교력을 발휘해 성과물을 도출해 내야 한다. 다음 달 1일 이 대통령과 시 주석의 첫 만남에서는 미중 갈등 속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등 역내 안보문제와 한국 기업들 피해 최소화 방안 등에 어떤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USA-SOUTHKOREA/ <YONHAP NO-0558> (REUTERS)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한 우리 정부 관계자들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환담하고 있다. /로이터연합
북미 간 페이스메이커 역할도 이번 APEC 정상회의에서 우리 정부의 과제다. 이 대통령은 APEC 기간 북미대화가 성사된다면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외신과의 인터뷰에서도 밝혔다. 그러나 북한은 26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최선희 외무상의 러시아·벨라루스 순방을 발표하며 북미대화 성사 가능성을 일축한 것으로 보인다. 북미대화 여부가 논의되는 민감한 시기에 최 외무상을 러시아로 보낸 것은 러시아 혈맹을 중시한다는 일관적인 노선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트럼프와의 회동 거부를 시사하는 명확한 대미 메시지라는 평가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미국과) 깜짝 회동을 조금이라도 염두에 둔다면 최선희를 비롯한 모든 대미 실무팀들이 비상대기 상태에 있어야 한다"며 "북한의 무반응 속 최선희 러시아 방문 뉴스 발신은 트럼프를 더욱 자극하고 압박하는 측면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지환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