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때문에 임대 매물↓…주거 약자 구제해야"
|
28일 분양평가업체 리얼하우스가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9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나타났다.
지역별 상승률을 보면 △인천(7.80%) △서울(7.25%) △경기(5.23%) 순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인천(0.39%) △서울(2.08%) △경기(0.99%) 등으로 월세 상승률보다 낮았다.
연도별 수도권 월세 가격 추이를 보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소폭 등락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임대차 3법이 시행된 2020년 1% 상승에 이어 2021년에는 4.26% 올랐다. 이어 2022년 5.54%, 2023년 5.25%, 2024년에는 4.09% 상승했다.
아파트 전세가격이 포스트 코로나 이후 금리 상승 영향으로 2022년 0.04% 상승, 2023년 6.66% 하락했지만 이 기간 월세가격은 전세시장과 상관없이 강세를 이어갔다.
월세 거래량도 증가 추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8월 전국 주택 월세 비중(62.2%)은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이는 2023년 55.0%, 2024년 57.4% 등과 비교하면 크게 높아진 수치다. 특히 서울의 월세 비중(64.1%)은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일각에선 연이은 대출 규제 및 부동산 대책이 이어지면서 전월세 가격 상승과 월세 비중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대출 규제로 전세자금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10·15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2년 실거주 의무가 적용되면서 임대 물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