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신진작가 김예린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아름다운 예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30010013257

글자크기

닫기

전혜원 기자

승인 : 2025. 10. 30. 14:09

영국 던디대 회화과 수석급 졸업, 작품 현지 옥션 출품되며 국제적 주목
ㅇ
김예린 작가의 졸업작품 '운명(Moirai)' 시리즈 전시 전경.
"길 위에서 스쳐 지나가는 모르는 얼굴들을 보면,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살아가는 모습이 따뜻하고 기특하게 느껴져요.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얼마나 호화롭고 충분한 일인지 말하고 싶습니다."

지난 8월 영국 던디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김예린 작가의 말이다. 3년간 장학생으로 재학하며 실력을 인정받은 그는 졸업전시에서 'Graham Lang Prize'까지 수상하며 학부 최고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최근에는 졸업작품 일부가 영국 옥션에 출품되며 현지 미술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한국적 감수성을 세련되게 표현하는 작가'라는 평가에 그는 고개를 저었다. "저는 한국적 감수성을 말하는 작가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다만 '예술은 아름다워야 한다'는 단순한 믿음에서 출발했죠."

그가 말하는 아름다움의 정의는 시간에 따라 변해왔다. 한때 여성의 관능적인 형태에서 본능적 아름다움을 발견했다면, 지금은 평범한 일상 그 자체를 아름답다고 여긴다.

d
김예린의 'I'm Still with You'.
그의 작품을 본 이들은 종종 유화로 착각한다. 빠르게 마르는 아크릴의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물감이 마르기 전 재빨리 색을 혼합하고, 건조 후에는 물의 농도를 조절해 여러 겹 덧칠하며 깊이를 쌓아올린다. 속도와의 싸움 끝에 탄생한 독특한 기법이다.

졸업작품 '운명(Moirai)' 시리즈는 그리스 신화 속 운명의 세쌍둥이 여신에서 영감을 받아 '태동', '흐름', '덧없음' 세 점의 캔버스로 구성됐다. 관능적인 여성 형상을 통해 삶과 죽음의 순환을 탐구한 이 작품은 본능적이고 화려한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반면 함께 전시한 여덟 점의 흑백 판화는 절제된 세계에서 편안함을 담았다. "판화의 접근성을 높여 대중과 더 가까이 소통하고 싶었어요. 많은 분들이 작품을 소장해 주셔서 제 마음이 틀리지 않았다는 확신을 얻었습니다."

ㅇ
김예린의 '춘정(Spring Love)'.
유학 시절 외로움 속에서 그린 작품 '춘정'에는 독특하게도 호랑이가 등장한다. 신윤복의 '미인도'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은 옷고름을 묶는 여인과 그녀를 훔쳐보는 이들을 향해 으르렁대는 호랑이를 그렸다. "기녀의 춘정이란 이룰 수 없는 사랑에 대한 가슴 떨리는 몽상이에요. 호랑이는 그 몽상을 방해받지 않도록 지켜주는 역할이죠."

현재 이탈리아 복원미술 대학원 진학을 준비 중인 그는 어린 시절부터 르네상스 작품을 사랑했다. 대학에서 동료 작가들의 창작 과정을 지켜보며 복원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깊어졌다.

"미술 복원가는 창작자가 쏟아부은 감정이 담긴 작품을 시대를 초월해 전달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작가들의 발자취 뒤에서 그들의 예술적 유산이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돕는 소중한 직업이죠."

앞으로도 평범한 일상의 가치와 마음의 온기를 담은 작업을 이어가겠다는 김예린 작가. "제 작품이 누군가에게 잠시 멈춰 서서 숨을 고르는 시간이 될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그의 말처럼, 그의 캔버스는 소란한 세상 속 작은 쉼터가 되어주고 있다.

김예린 작가
김예린 작가.
전혜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