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수산물 유통 6단계→4단계 축소…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4010001584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지훈 기자

승인 : 2025. 11. 04. 12:19

해수부,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발표
유통비용 10% 절감·가격 변동성 25% 완화 목표
basic_2024
정부가 복잡한 수산물 유통단계를 단축하고 온라인 거래를 활성화하는 등 유통구조 전반을 손질한다.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신뢰받는 유통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해양수산부는 4일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유통비용률 10% 절감하고 주요 수산물 가격 변동성을 25% 완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번 개선방안에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이익을 누리는 신뢰 기반의 유통체계 구축'을 비전으로 4대 추진방향과 8대 세부과제가 담겼다.

우선 정부는 현재 '생산자(어업인)→산지 위판장→산지 중도매인→소비지 도매시장→소비지 중도매인→소매상' 등 6단계로 이뤄진 수산물 유통경로를 '생산자→산지 거점 유통센터(FPC)→소비자 분산 물류센터(FDC)→소매상' 4단계로 간소화한다. FPC는 산지에서 수산물을 매입해 일정 물량이 모이면 위판·가공·유통을 한 번에 처리하는 산지 거점 시설이다. 이곳에서 가공된 수산물이 물류 거점인 FDC로 보내져 전국 각지로 공급되면 유통 경로가 한층 단순화된다.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품목은 현재 60개에서 134개로 두 배 이상 확대한다. 판매자 거래 규모 제한을 없애고 산지 중도매인도 판매자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도 완화한다. 또한 수협공판장과 여신 시스템을 연계해 거래 편의를 높이고, 소비자가 온라인에서도 품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기반 등급 판별 기술도 개발한다.

어업인이 조업 후 귀항하면서 선상에서 모바일로 위판할 수 있는 온라인 전자경매 시스템을 도입한다. 고등어·갈치 등 주요 어종의 유통 영상을 자동 기록해 빅데이터화하고, 이를 통해 유통 전 과정의 추적이 가능하게 할 방침이다.

수도권을 시작으로 충청권 등 대도시권에 수산물 전문 직매장을 단계적으로 확충해 소비자가 산지 수산물을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도매시장 내에서는 실시간 배송체계와 단순 가공시설을 마련해 직접 판매와 배송이 가능한 체계도 구축을 검토한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양식품종 전환과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을 지원하고, 종자시설의 스마트·자동화(30곳)도 추진한다. 재해 발생 후 복구 중심의 정책을 예방 중심으로 전환해 고수온 등으로 인한 가격 급등 요인을 줄인다. 아울러 주요 수산물 10종에 대한 AI 기반 수급예측모형을 개발해 시장 변동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소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유통구조를 소비자 맞춤형으로 개선한다.

이 밖에 도매시장별 상품·거래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가락시장 등 주요 도매시장부터 전자송품장을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전자송품장을 통해 위판물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 가격의 급등·급락도 방지한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이번 대책은 수산물 유통의 미래를 바꾸는 첫걸음"이라며 "합리적인 가격 형성과 신뢰받는 유통환경 조성을 위해 이번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