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위 테슬라 '모델 3'는 3위로 밀려…2위는 '아이오닉 5'
|
4일 중고차 플랫폼 첫차에 따르면, 지난해 중고 전기차 시장을 주도했던 '모델 3'가 3위로 밀려나고, SUV 모델인 '모델 Y'가 1위로 올라서며 테슬라 내에서도 주력 모델의 세대 교체가 이뤄졌다. 수입 프리미엄 브랜드들이 강점을 보이던 내연기관 시장과 달리, 전기차 시장에서는 브랜드 충성도보다 가격·보증·충전 편의성 등이 주요 구매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수입차 판매량에서도 테슬라는 지난 9월 기준 3개월 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테슬라 모델 Y로, 7383대 판매했고, 나머지는 모델 3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 전기차 판매량에서 테슬라 모델 Y는 전년 대비 3계단 상승하며 2025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같은 브랜드의 모델 3는 2단계 하락해 3위에 그쳤으며, '세단에서 SUV로의 수요 이동'이 테슬라 브랜드 내부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2025년 중고 전기차 시장은 테슬라 브랜드의 독주 속에서 국산 전기차의 수요 저변이 넓어지는 과도기적 국면"이라며 "SUV 중심의 수요 확산이 뚜렷해진 만큼, 향후 중형급 전기 SUV 중심으로 거래 구조가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모델 Y의 중고 거래량은 전년 대비 약 2.8배 증가(278%)했으며, 2025년 중고 전기차 전체 거래량의 비중에서도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모델 Y 중고 매물은 신차 대비 큰 감가율로 인해 가성비와 가심비를 모두 고려하는 첫차의 20-30대 유저 중심으로 관심도가 치솟고 있다.
국산 전기차 중에서는 현대 아이오닉5가 2위를 기록하며 테슬라 모델 Y의 대항마로 자리했다. 전년 대비 순위는 1단계 하락했으나, 판매량은 120% 증가해 국내 전기차 시장의 안정적 수요를 입증했다. 뒤이어 기아 EV6(4위), EV9(5위), 아이오닉6(6위), 레이 EV(10위)가 TOP10에 포함되며 국산 전기차의 저변이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국산 브랜드들은 특정 차종에 수요가 집중되기보다는, 세단·SUV·경형 등 다양한 차종으로 수요가 분산되는 흐름이 특징적"이라며 "이러한 흐름은 향후 중고 전기차 시장에서도 브랜드보다 '차급·용도 중심'으로 소비자 판단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한편, BMW와 벤츠는 전기차 세그먼트에서 여전히 제한적인 성과를 보였다. BMW i4는 8위(전년 대비 4계단 상승), 벤츠 EQE는 9위(17계단 상승)로 순위 상승세를 보였으나, 판매량 규모는 여전히 테슬라 및 국산 브랜드와 큰 격차를 보였다. EQE의 경우, 화재 사고 이슈 이후 중고 시세가 낮게 형성되며 '가격 메리트'에 따른 거래 증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