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5일 '녹지생태도심 선도 사업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 착공식'을 갖고, 최근 3년간 서소문 일대 3개 지구 재개발과 함께 추진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성과를 발표했다.
이날 착공식에 참석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번 착공은 서울이 녹색도시로 다시 태어나는 도심 전환의 출발점"이라며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고 녹지를 확보하는 새로운 재창조 모델 '녹지생태도심' 전략을 통해 서울 전역을 녹색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글로벌 녹색도시로 발돋움시키겠다"고 말했다.
앞서 2022년 4월 시가 침체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마련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은 민간사업자가 개방형 녹지를 확보하는 만큼 건축규제를 완화해 도시개발과 환경보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혁신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개발 방안이다.
그동안 시는 녹지생태도심의 일환으로 흩어져 있던 개별지구 녹지가 '하나의 정원'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도심 녹지공간 통합조성계획'을 추진,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의 녹지형 개방 공간(보행로 포함)을 애초 8010㎡에서 226% 늘어난 1만8140㎡까지 확보했다.
이처럼 사업자가 제안한 개방형 녹지 면적에 따라 높이 및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하게 되면 공공 예산 투입 없이도 대규모 녹지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다. 녹지형 개방 공간에는 생태숲·정원·무대·수경시설 등이 들어갈 예정이다.
|
녹지생태도심 선도 사업의 뼈대인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서울역-서대문 1·2구역 1지구)은 중구 순화동 7번지 일대에 지하 8층~지상 38층, 연면적 24만9179㎡의 업무·문화 복합시설을 조성하는 도시정비형 재개발로, 2030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재개발이 완료되면 대형 오피스 노후화로 활력을 잃어가던 서소문 일대는 문화와 녹지를 품은 대규모 혁신 업무지구(154만㎡)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소문빌딩 오피스 면적은 당초 대비 약 3.5배, 수용 인원은 3배 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강북권 최초 '클래식 전문 공연장'도 들어선다. 1980년대 개관 이래 공연 문화를 선도해 왔던 호암아트홀은 1100석 규모 클래식 공연장으로 거듭난다. 지상 4~9층 공연장 공중 배치로 추가 확보된 저층부 외부공간은 녹지와 연계해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추가]투시도 1](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1m/05d/202511050100040040002320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