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딴 산재에 노조 "4조2교대 근무 도입"
인천공항 "근무제도 전환, 재정악화 우려"
|
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시작된 전국공항노동자연대 인천공항지역지부의 파업이 달을 넘겼지만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인천공항운영서비스와 인천국제공항보안 등 인천공항 자회사 소속 노동자들로 구성된 이들은 지난달 1일부터 올해 단체교섭에서 제시한 4조2교대 근무 도입과 인력 충원 등을 요구하는 동시에, 자회사 직원이 받는 불이익을 개선해달라며 파업에 돌입했다.
이후 열흘만인 지난달 11일 간부 파업으로 전환되고 조합원이 업무 현장으로 복귀하는 등 사태가 소강되는 듯 했지만, 같은 달 말 지도부가 단식 투쟁에 돌입하며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정안석 인천공항지역지부 지부장은 단식 10일차인 지난 5일 병원으로 이송되기도 했다.
노조는 최근 지속되고 있는 산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4조2교대 근무가 필수라는 입장이다. 지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8월 사이 인천공항 자회사 노동자 5명이 근무 도중 사망했다.
인천공항공사는 기존 3조2교대 근무에서 4조2교대로 전환할 경우, 인력 보충이 필요해지고 그에 따른 재정 부담이 증가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공사의 재정 상황이 전년보다 좋아진 점을 들어, 임금 삭감이나 추가 비용 없이 근무제 전환이 가능하다고 반박하고 있다.
지속되는 대립에 양측의 감정싸움도 심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누군가 고의로 공항 내 화장실을 가로막은 정황이 발견되기도 했다. 지난달 27일 청사에서 진행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학재 공사 사장은 해당 사고에 대해 "민주노총 조합원으로 특정되는 인물이 있어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파업 장기화에도 공항 운영에는 큰 차질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중순을 기점으로 간부파업으로 전환되며 현장 인력 공백 문제는 다소 해소됐기 때문이다.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파업 초기에는 대체 인력 투입 등을 통해 업무 공백을 채웠으며 참여한 인력이 소수인 만큼 업무 문제는 없다"며 "파업이 자회사와 노동자 간 문제인 만큼 양측 간의 소통을 통해 해결돼야하기에 적극적인 개입은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