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 친환경 축제와 K-미식벨트 인기
MICE와 관광의 선순환으로 K-관광 거점도시 도약
|
26일 안동시에 따르면 민선 8기 마지막 해를 맞아 관광수용태세 개선, 콘텐츠 확충, 홍보마케팅 강화, 사계절 축제 운영, MICE 기반 조성 등의 노력을 통해 안동 관광은 단순 회복을 넘어 지속 가능한 관광생태계 구축으로 이어졌다.
시는 3월 대형 산불 이후 관광객 감소가 이어지자 '착한 관광, 안동으로 여행 기부' 캠페인을 비롯해 할인 이벤트·SNS 홍보 등 관광 붐업 전략을 전개했다.
특히 '다시, 안동 ON(溫)'은 영수증 페이백, 기부 캠페인, 재능기부 공연 등 참여형 기부 문화를 선보이며 시민에게 정서적 치유를 제공해 약 5만명이 행사장을 찾으며 위축된 소비심리가 회복됐고 관광업계 지원과 민관협력도 활발히 이어졌다.
시에서는 암산얼음축제, 수페스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등 주요 축제에서 친환경 운영 시스템을 도입해 일회용품 사용을 대폭 줄였으며 탈춤페스티벌에서는 다회용기 회수율 99%를 기록하며 친환경 축제 모델을 제시했다.
또 전통주·전통음식 기반의 'K-미식벨트'의 전통주 체험프로그램은 조기 매진될 만큼 인기를 끌었고 안동소주와 안동찜닭이 한일 정상회담 공식 만찬에 오르며 안동 미식의 가치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맛과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안동'의 위상을 국내·외에 각인했고 국내 46개 도시를 대상으로 심사한 '2025 SRT 어워드' 10대 도시에 포함되며 관광도시로서의 경쟁력도 다시 확인했다.
|
또 TPO와 공동 개최한 '2025 K-CLIP'에는 10개국 유학생이 참여하며 글로벌 관광 인재 양성 도시로서의 위상이 높아졌고 주요 방송·예능 촬영지로도 주목받으며 관광자원의 대중적 확산 효과도 컸다.
시는 올해 국제회의 도시로서 '세계대표자대회 및 KOREA BUSINESS EXPO ANDONG' 등 대형 국제회의 개최로 국제회의 도시 기반이 강화됐고 참가자들이 지역 관광지를 함께 체험하는 방식이 정착되며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높아졌다.
또 안동국제컨벤션센터와 한국문화테마파크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리며 관광·문화·MICE가 결합된 새로운 도시 모델을 만들어냈다.
시는 올해 산불 피해 극복을 계기로 민관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친환경 축제·미식·MICE 확장으로 관광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구조를 구축했으며 앞으로 민관이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 관광, 사계절이 아름다운 체류형 관광 활성화,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관광형 MICE 육성을 핵심 전략으로 삼아 'K-관광 거점도시'로의 도약을 이어갈 계획이다.
권기창 시장은 "2025년 안동 관광은 위기 극복에서 시작해 글로벌 확산으로 나아가는 의미 있는 도약의 해였다"며 "2026년에는 시민과 함께 만드는 지속 가능한 관광생태계를 확립해 세계 속에서 경쟁력 있는 관광도시 안동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