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세제(EITC)의 노동유인 효과가 별로 없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석 연구위원에 따르면, 품목별 감소율은 교육비(65.9%)가 가장 컸으며 주류·담배 구입(36.2%), 기타 상품·서비스 구입(41.3%), 교통비(35%), 의류·신발 구입(31.9%), 통신비(30.5%), 외식비(26.2%) 등에서 큰 폭으로 줄었다.
반면 보건의료비는 은퇴 이후 61.9% 증가한다.
연금을 받는 가구는 은퇴 후 소비지출이 10.4%, 빈곤하지 않은 가구는 8.3%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빈곤가구는 은퇴 후 소비지출에 변화가 없었다.
그는 "은퇴 전의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은퇴 전후의 소득과 소비지출 변화폭을 완화해야 한다"며 "근로취약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근로가능계층을 위해 임금피크제 등 임금제도를 개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분석에 따르면, 근로장려금은 노동시장 참가확률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맞벌이 가구는 EITC가 노동시장 참가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정아 연세대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은 "차상위계층과 근로빈곤층의 주거비와 의료비지출에 대한 지원방안을 집중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장기적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고용정책을 강화하면서, 절대빈곤층뿐 아니라 차상위계층, 근로빈곤층에게도 주거비와 의료비 지출에 대한 지원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